환자를 위한 의료정보 공유가 병원-병원 간, 병원-환자 간 활발히 이뤄져야한다는 인식이 공유됐다.
자유한국당 김세연 의원실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아젠다2050, 대한의료정보학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개최한 '디지털헬스케어 기반 수요자 중심의 건강관리체계 구축방안'에서는 이 같은 논의들이 이뤄졌다.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강건욱 교수는 발제를 통해 수요자 중심 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환자 중심 정보공유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병원간 진료정보교류를 수요자(환자)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는 등 현행 법·제도를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도 환자 동의 기반 의료정보 공유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들이 이어졌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김기운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이 "포괄적 의료와 기본 방향이 같아야겠지만, 적어도 응급상황에서는 의료정보가 빨리 전달돼 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일례를 들어 "혈압이 300 가까이 올라온 환자에게 사전 정보 없이 혈압을 낮추는 약을 처방했더니 심장이 멈춘 사례가 있었다. 나중에 확인된 사실로는 의약품을 잘못 복용해 알러지로 혈압이 증가했는데, 유발인자를 한번 더 준 것"이라며 "환자들이 올때마다 등록번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같은 문제 개선을 위해 응급상황번호를 만들고 퇴원 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환자단체연합회 한국 1형 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는 "글로벌 1형 당뇨병 환자단체 Nightscout 활동에서는 다양한 당뇨기술을 공유하고, IT 기술 기반 인공췌장시스템(APS)을 구현해 인슐린 양을 자동으로 조절해 당뇨인들이 혈당체크나 인슐린주사를 하지않아도 혈당을 잘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라며 "의료기기와 IT 기술을 잘 융합하면 혈당의 흐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상용화된 서비스가 아니라 환자·보호자가 기술을 직접 배워 구현해야 하고, 혈당 관련 데이터 분석자료를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없으며, 의료진에게 공유되지 않아 실제 진료에는 사용될 수 없다"면서 "이미 나온 기술로 모은 데이터를 활용할 방법이 있다. 규제나 이해관계자 반대에 막혀 환자의 아픔과 어려움을 외면하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사이넥스 김영 대표는 "미국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중복적 검사로인한 불필요 비용을 줄이기 위해 2009년 법개정을 통해 병원간 진료정보를 전자적 방법으로 교류하고 환자에게도 전자기록을 공유하도록 했다"면서 "전자건강기록(EHR)을 통해 미국 전역에 환자건강정보를 공유하도록 활성화하고 의미있는 사용을 하도록 추진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역시 환자공유정보를 활용해 질의 향상을 높이는 것은 의료기관·의료인이므로, 이를 위한 질관리를 국가 차원에서 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사이버보안을 기본적으로 고려하면서 환자중심 의료정보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입법목표를 분명히 하고, 질 향상을 위해 디지털헬스 기반주체인 의료기기 관련 입법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