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한 '원내약국 개설금지법' 추진…병원내 분할·변경까지
기동민 의원 발의 "편법 약국개설 잡아 의약분업 취지 살릴 것"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7-19 06:00   수정 2019.07.19 06:42
원내약국 개설이 약사사회 논란이 되는 가운데, 광범위하게 원내약국 개설을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돼 주목된다.

개정안에는 원내약국 뿐 아니라 인접 시설, 분할·변경·개수 의료기관까지 금지가 이뤄진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지난 18일 이 같은 내용의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에서는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 의료기관의 시설 또는 부지의 일부를 분할·변경 또는 개수한 경우와 의료기관과 약국사이에 전용의 통로가 설치돼 있는 경우 약국개설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세부적인 규정이 없어 유사한 상황임에도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약국이 개설되는 경우도 있는가 하면 반려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됐다.

또한 의료기관 위장점포와 브로커 등 편법적 약국개설의 문제점도 함께 언급됐다.

기동민 의원은 "의료기관과 같은 건물에 약국을 개설하거나 위장점포를 개설해 병의원과 같은 층에 약국을 입점하는 등 환자의 약국선택권을 제약하고 의약분업의 취지를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며 "독점약국 입점을 위한 브로커가 생겨나고, 환자 처방전을 독점시켜주는 대가로 의료기관의 건물 임대료나 인테리어 비용을 대납하는 등의 병의원 및 약국 간 담합도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의된 개정안은 약국개설을 금지하는 구체적 사항을 추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 약국 개설을 금지했으며, 의료기관과 인접한 시설로 해당의료기관의 의료인, 의료기관 개설자(법인의 대표자, 이사, 그 밖에 이에 종사하는 자 포함) 및 의료기관 종사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가 소유하는 시설 안 또는 구내가 포함됐다.

또한 의료기관의 시설 또는 부지의 일부를 분할·변경 또는 개수(改修)해 약국을 개설하는 경우 역시 금지됐다. 

다만, 예외적으로 분할·변경 또는 개수한지 5년이 경과한 곳으로서, 해당의료기관의 의료인, 의료기관 개설자 및 의료기관 종사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가 아닌 자가 소유한 경우에는 금지대상에서 제외됐다.

그 밖에 의료기관과 약국 간 경제적·구조적·기능적 독립성을 유지할 수 없다고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도 금지 대상으로 규정했다.

기동민 의원은 "이번 개정안으로 현행 규정의 미비점을 보완해 의약분업의 취지를 살리는 한편 의약품 유통시장의 건전성을 높이려고 한다"며 개정 발의 취지를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