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최근 5년간 DUR 경고 무시 처방 63만건
중복처방만 39.6만건으로 63%…신동근 의원 "처방실태 자체감사 해야"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22 09:11   
국립암센터가 최근 5년간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의 경고를 무시하고 63만건의 처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은 22일 국립암센터로부터 'DUR 경고알림이 뜬 처방건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 같이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DUR 경고에도 불구하고 의약품을 처방한 사례가 최근 5년간(2014년 ~ 2018년 9월) 총 63만3,030건에 달했다.

DUR 경고를 무시한 처방건수는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2017년에만 16만9,183건이 처방됐는데, 2014년 대비 약 2배 수준으로 폭증한 것이다.

뿐만아니라 올해 9월말 기준으로 15만3,962건이 DUR 경고를 무시하고 처방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년동기(2017년 1~9월)에 12만5,602건이 처방된 것을 감안하면 올해 DUR 경고 무시 처방실태는 더욱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DUR 경고를 무시한 전체 처방건수의 63%에 달하는 39만6,752건이 ‘중복처방’으로 나타났다.

중복처방 실태를 의약품의 주성분별로 살펴보면, 중복처방이 잦은 주성분 상위 5위 안에 합성마약으로 분류되는 △옥시코돈(2위/2만4,806건) △펜타닐(3위/2만2,204건)이 포함돼 우려를 더하고 있다.

이밖에도 '강진 실종여고생 사망사건'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된 것으로 알려진 졸피뎀의 경우 3,331건이 중복처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포폴과 함께 '3대 수면제'로 불리는 미다졸람의 중복처방도 최근 5년간 3,235건에 달했다. 



신동근 의원은 "동일한 성분이 중복으로 처방될 경우, 실제 치료기간보다 더 많은 의약품을 처방받게 되거나 특정성분을 과도하게 복용할 수 있어 환자안전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마약으로 분류되는 의약품의 경우, 중복처방으로 인해 잉여량이 발생하면 불법거래나 범죄 등에 악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마약류의 중복처방 행태는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우리나라 최고의 권위를 갖는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암센터에서조차 DUR 경고를 무시한 처방이 비일비재하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해야 한다"며 "국립암센터에 DUR 경고 무시 처방실태에 대한 자체감사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