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의약품 수출 22.4억원…전년比 30.9%↑
R&D는 전년보다 3% 감소…상장기업 매출 9.3조원 유한·녹십자·종근당·대웅 순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18 12:00   수정 2018.10.18 12:01
올해 상반기 의약품 수출액이 22.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30.9% 증가했다.

반면 연구개발비는 7,702억원으로 전년보다 3% 떨어졌으며, 상장기업 매출액은 9.3조원을 기록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관세청·식품의약품안전처(수출입)·한국고용정보원(일자리) 등의 관련 자료를 종합해 '2018년 상반기(1~6월)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입 및 경영 성과'를 발표했다. 

2018년 상반기 보건산업(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은 총 71억 달러(7조8천억 원)로 전년 동기대비 30.9% 증가하고, 수입액은 64억2천만 달러(7조 원)로 20.7%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016년 흑자 전환 이후 2018 상반기에는 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그중 제약산업분야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면, 2018년 상반기(1~6월) 의약품 수출액은 22억4,000만 달러(2조5천억 원)로 전년 동기대비 33.0%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36억5천만 달러(4조 원)로 30.7% 증가했다.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3억 달러 증가한 14억8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의약품 수출국을 살펴보면 수출 상위 5개국은 독일(2억5천만 달러), 일본(2억3천만 달러), 중국(2억 달러), 터키(1억9천만 달러), 미국(1억8천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일, 터키, 네덜란드 등의 수출증가율이 각각 416.0%, 1,481.8%, 211.4%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는데, 바이오의약품 수출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완제의약품 수출은 14.6억 달러로 전년 동기(9억7천만 달러)대비 51.0% 증가했고, 원료의약품 역시 7억8천만 달러로 8.7% 증가했다.

주요 완제 수출 품목으로는 바이오의약품(면역물품)이 8억2천만 달러로 전체의 36.8%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백신 제품(8천만 달러), 보톨리눔(보톡스) 제품(8천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상반기 상장 제약기업(110개소) 매출액은 9조3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0.0% 증가했다. 특히 중소기업(12.5%)은 대기업(9.7%)에 비해 약 3%p 높은 성장을 기록하였다.

기업별로는 유한양행(7,195억 원)이 1위를 기록했으며, 그 뒤로 녹십자(5,400억 원), 종근당(4,556억 원), 대웅제약(4,541억 원) 순이며, 바이오의약품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셀트리온 및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각각 전년 동기대비 15.2%, 50.1% 증가했다.

제약기업의 연구개발비(R&D 지출)는 7,70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0% 감소했으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도 8.3%로 전년 동기대비 1.1%p 하락했다.

연구개발비는 2016년 상반기 6,575억원에서 2017년 상반기 7,940억원으로 8천억원을 눈앞에 두고있었으나 다시 7,702억원으로 떨어진 것이다. 

혁신형 제약기업(36개사)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10.7%로 상장 제약사(8.3%) 대비 높았다.

제약 벤처기업(28개사)의 연구개발비(909억원)는 전년 동기대비 10.2% 감소했으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21.1%를 차지했다.

일자리 창출의 경우, 2018년 상반기 제약산업(사업장 610개 소) 일자리는 6만6,800명으로 전년 말 대비 2.7% 증가했으며, 약 1,757개의 일자리가 창출됐다.

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최근 5년간 보건산업 수출액이 연평균 21%씩 고속성장 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무역수지와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성장 추이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민간영역에서 투자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에 대해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는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