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 확률을 높이는 자궁내막증이 4년간 31.5%의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37.3%가 올라갔다.
17일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궁내막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3년 8만4,583명, 2017년에는 11만1,214명으로 4년 동안 환자 수 2만6,631명, 31.5%가 증가했다.
진료비 또한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3년 402억7,777만원에서 2017년 553억186만원으로 4년 간 150억2,408만원이 늘어 37.3% 증가했다.
환자는 40대 연령층에 가장 많았다. 2017년 기준, 40대 연령층 환자가 전체 환자에 47.5%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출산에 민감한 20대와 30대 연령층 환자도 10.7%, 27.0% 비율을 차지했으며, 50대 연령층 환자도 13.5%를 차지했고, 60대 초과 연령층 환자는 0.9%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혜숙 의원은 "자궁내막증이 극심한 복통 유발하는 것 외에도, 임신이 되더라도 유산을 일으키거나 불임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며 "특히 출산에 민감한 20대~30대 환자만 약4만2천명으로 전체 환자의 37.7%를 차지하고 있다. 0점대 출산율이 점쳐지는 국내 저출산 상황에서 자궁내막증 환자 수 증가 추세는 가벼이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 "자궁내막증, 자궁근종과 같이 유산과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여성질환에 대해서는 질병관리 홍보 등 보건당국의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