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4,800개 일자리 창출
일자리위원회 민간투자프로젝트 지원…의약품 분야 1,400곳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04 18:56   수정 2018.10.05 06:21
정부가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에 4,800개 일자리 신규 창출을 정책적으로 지원한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4일 SK 하이닉스 청주공장에서 '제8차 회의'를 개최하고 '신산업 일자리 창출 민간 투자프로젝트 지원방안'을 안건으로 상정 ·의결했다.

이번 지원방안은 민간 제조업 혁신성장 투자 활성화 지원을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고 제조업 고용회복을 선도하기 위해 이뤄졌으며, 2022년까지 10.7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5개 유망분야(미래차·반도체·디스플레이, IoT가전,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중심의 민간 투자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부 마중물 투자 등을 통해 밀착 지원하게 된다.

그중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2022년까지 27건의 프로젝트 2조7,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4,800개를 창출하게 된다.

가장 먼저 이뤄지는 추진되는 사업은 의약품 분야 S사의 인천 송도 3공장 증설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8,500억원을 투자해 525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

또한 D사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당뇨 치료제 등 개발로 4,000억원을 투자해 380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든다.

M사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보톡스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1,250억원을 투입해 570개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7개사에서 빅데이터 기반 비지니스 모델 개발에 700억원을 투자해 530개 일자리를 만든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올해부터 2022년까지 각각 혈당측정기 개발(I사, 768억원 투자, 156개 일자리), 이동형 X-ray 촬영 시스템 개발(D사, 256억원 투자, 130개 일자리), 인공치근 제작용 세라믹 등 임플란트 시스템 개발(O사, 2,530억원, 860개 일자리)를 추진한다.

이날 일자리위원회는 바이오·헬스 각 분야에서 투자에 어려움을 느끼는 애로사항을 정리하기도 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영세한 기업규모로 혁신적 제품개발을 위한 과감한 R&D 투자 및 신약기술의 사업화 역량 부족이 어려움으로 꼽혔다.


헬스케어 서비스에서는 현행법상 개인 의료정보의 활용 제한, 사업화 저해 규제 등이 애로점으로 지적됐다.

의료기기에서는 부가가치가 낮은 중·저가 의료기기 위주로 생산하고 있는 현 상황과, 수요자인 병원이 신뢰성 부족을 이유로 국산 구매를 기피하는 수요기반 부재 등을 꼽았다.

이에 일자리위원회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지원, 혁신적 신약·의료기기 전주기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을 보면, 혁신신약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후보물질발굴부터 임상시험까지 전주기적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 중소기업 이전 특허(IP)의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글로벌 선도형 바이오 IP경쟁력 강화 촉진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두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중이다.

의약품 생산역량 제고를 위해 안동, 화순에 cGMP급 백신 위탁전문시설을 구축하는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도 추진중이다.


헬스케어 정책지원을 위해서는 2020년까지 340억원(민간 300억원) 병원 의료데이터를 프라이버시 보호와 동시에 신산업 창출에 활용토록 대규모 바이어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정보는 개인정보를 온전히 보호하도록 익명정보를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2022년까지 개인맞춤 건강관리서비스 등 신규 비지니스 100건을 창출·실증 지원하고, 건강관리서비스와 의료행위 간 명확한 구분기준을 제시해 기업 혁신서비스 개발을 활성화하며, 유전자 분석 서비스 허용항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AI·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 사업'과 '범부처 의료기기 신규 예타사업'을 통한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전주기 지원 및 수요기반 확대도 함께 이뤄진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