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메르스,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
원내대책회의서 강조…철저한 역학조사와 격리·모니터링 당부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9-11 12:36   수정 2018.09.11 12:37
여당이 정부에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관련해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며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11일 '제116차 원내대책회의'에서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한 지 오늘로 나흘째를 맞았다"며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던 3년 전과 달리 지금까지는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어서 천만다행"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초기 검역시스템의 일부 미비점도 드러나고 있어 417명의 일상접촉자 중 외국인 탑승객의 소재파악이 안 된다"며 "확진환자가 탔던 리무진 택시의 23명 이상이 추가로 탑승했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홍 원내대표는 "보건당국은 메르스가 완전히 없어질때까지 바늘구멍같은 빈틈도 허용하지 않는 자세로 총력 대응에 나서야 한다"며 "철저한 역학 조사를 통해 감영자가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관련 정보도 투명하고 신속하게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 각 지자체도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에 대한 격리와 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해서 메르스 확산 가능성을 철저히 차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특히 "3년 전 메르스 사태의 교훈은 '늑장대응보다 차라리 과잉대응이 낫다"는 것"이라며 "끝까지 긴장을 풀어서는 안된다.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로 확인된 분들도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협조에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태년 정책위의장도 "3년 전 메르스 사태는 첫 환자가 입국 후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보름이 걸렸지만, 이번에는 입국 후 확진판정까지 24시간(언론공개 27시간)을 넘지 않았다"며 "이는 우리 사회가 지난 메르스 이후 많은 반성으로 방역체계 및 의료기관 대응이 달라진 것을 확인한 의미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다행히 현재까지는 접촉자들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고, 추가적으로 양성 판정 환자가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안심해서는 안 된다"며 "중동지역에서 추가적인 유입이 있을 수 도 있고, 잠복기를 거쳐 접촉자들 중에 추가적으로 확진환자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긴장의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환자발생에 대비한 긴급대응체계와 의심환자 격리병상은 물론 보호장구와 진단시약 등을 충분히 확보하고, 일상 접촉자라 하더라도 지자체와 긴밀한 협조하에 1:1 관리가 치밀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방역당국에서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잘 아시다시피 이번에 발생한 확진 사례는 메르스 주요 증상인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며 "검역기준에 따라 조치가 이뤄졌지만, 보다 주의 깊게 살폈더라면, 검역단계에서 보다 적절한 대응도 가능했겠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메르스를 포함해 해외유입 감염병 기준지침을 개선하는 방안도 전문가와 재검토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