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급식소 대규모 식중독 발생 원인은 '살모넬라균'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9-10 22:09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교육부(장관 김상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발생한 집단 급식소 대규모 식중독 발생 원인으로 식품제조업체 더블유원에프엔비(경기 고양 소재)의 ‘우리밀 초코블라썸케익’에서 분리한 살모넬라균을 최종 병원체로 확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최종 확정은 환자 가검물, 학교 보존식, 납품예정인 완제품, 원료인 난백액에서 모두 동일한 살모넬라균(살모넬라 톰슨, Salmonella  Thompson)’이 검출되고 유전자 지문 유형도 동일한 형태로 일치한데 따른 것이다.

살모넬라균에는 2,600개 이상의 혈청형 종류가 있으며, 그중에서  살모넬라 톰슨(Samonella Thompson) 은 항원형 C 그룹 330개 중 하나로 살모넬라 식중독을 일으킨다.

정부에 따르면 9월 10일 17시 기준으로 식중독 의심환자수는  57개 집단급식소에서 2,207명으로 집계됐니다.

9월 10일 추가로 집계된 2개 학교 46명은 식중독 증상이 지난 9월 7일 늦게 나타났으나 10일에 식중독 신고를 한데 따른 것으로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는 식중독 환자가 새롭게 발생한 것은 아니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9월 10일 17시 기준 식중독 발생현황은 전북 13곳(700명), 경남 13곳(279명), 부산 10곳(626명), 대구 5곳(195명), 경북 5곳(180명), 충북 4곳(122명), 울산 2곳(11명), 경기 1곳(31명), 광주 1곳(31명), 전남 1곳(15명), 제주 1곳(13명), 대전 1곳(4명) 이다.

현재 문제가 된 제품이 공급된 급식시설은 총 190곳(학교 175곳, 유치원 2곳, 사업장 12곳, 지역아동센터 1곳)으로 변동이 없다.

식약처는 현재 식중독 문제가 된 케익 제품에 대한 오염원을 조사하기 위해 보관상태, 제조공정 등 다각도로 원인을 규명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 교육부와 함께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다빈도 식품(조리없이 제공되는 완제품 등)을 분석해서 집중 수거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