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예방과 복약지도 <40>
지방간
최선례 기자 best_su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1-02-05 16:37   
증상

약제성 지방간은 초기에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복부불쾌감, 전신권태감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발프로산나트륨은 앞에서 말한 구역질 등의 증상이 또, 테트라사이클린은 황달, 신부전, 의식장애가 보인다.

기전

아직 충분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기전을 생각할 수 있다.

·발프로산나트륨, 테트라사이클린: 간장의 미토곤드리아 기능장애로 지방산의 β산화가 억제되어 중성지방의 생산량이 증가한다.

·아미오다론: 라이소좀 중의 인지질분해 효소활성을 억제하여 인지질을 저류시켜 인지질지방간을 일으킨다.

호발시기

·발프로산나트륨: 투여시작 2∼4개월이 많다.
·테트라사이클린: 투여시작 3∼12일 후에 발증(중독한 경우)
·아미오다론: 2∼161일(평균 38.9일)(간장·담관계 장애에서)

※발프로산나트륨

《작용》뇌내 GABA(γ-아미노酪酸)농도, 도파민농도를 상승시켜 세로토닌대사가 촉진된다. 이와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매개한 뇌내억제계의 부활작용에 기초하여 항전간작용이 발휘된다.

《사용상 주의》운용중에 투여량을 급격하게 감소하거나 투여를 중지하면 전간重積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를 중지하는 경우에는 서서히 감량하는 등 신중하게 투여한다. 또한 운용중에는 간·신기능검사, 혈장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작용》·페노바르비탈, 카르바마제핀의 혈장중농도가 상승한다. 또, 페노바르비탈, 카르바마제핀은 간약물대사효소를 유도하여 본약물의 혈장중 농도를 저하시킨다.
·벤조디아제핀계약물의 혈장중 농도를 상승시킨다.
·혈장단백과 결합시 사리칠酸은 본약물과 경합하기 때문에 본약물의 유리형농도가 상승한다.

《금기》중독한 간장애가 있는 환자에는 금기이다.

《부작용》극증간염등의 중독한 간장애, 황달, 지방간이 발현될 우려가 있다. 또, 용혈성빈혈, 빈혈, 과립구감소, 혈소판감소, 혈소판응집기능저하, 호산구증다 등을 발현할 우려가 있다. 경면, 실조, 현기증, 두통, 불면, 불온, 감각변화, 시각이상, 高암모니아혈증을 동반하는 의식장애가 발현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오심·구토,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변비, 식욕항진을 동반하는 이상한 체중증가, 구내염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치료법

·약물중지: 대부분은 약제를 중지하면 회복되는데 테트라사이클린 복용례에서 중증화된 증례는 발증후 1∼2주간 정도에 사망했다는 보고도 있다. 발프로산나트륨은 특히 유유아의 사망률이 높고, 증상개선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성인은 복약중지만으로 증상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약물에 의한 치료: 종합비타민제, polyenephosphatidyl choline, 니코친酸토코페롤.

복약지도

'평소와 같이 생활함에도 불구하고 나른함이 계속된다; 상복부가 무거운 느낌이 있다; 기분이 나쁘다; 구역질이 난다; 흰자위나 피부가 누렇게 된다. 몸이 가렵다, 황갈색뇨, 담황색변'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의사에게 연락한다.

※발프로산나트륨 복약중인 환자 가족에 대한 지도

지금 설명하는 부작용은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본인은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복약중인 환자에게 앞에서 말한 증상 외에도 '몸이나 얼굴이 붓는다; 경련이 이전보다 심해진다; 발열(37∼40℃); 변이 검어진다, 수족에 붉은 점이 생긴다; 때때로 까무러친다, 충분한 수면을 취했는데도 꾸벅꾸벅 존다, 헛소리를 한다; 손이 떨린다' 등의 증상의 변화가 나타난 경우에는 약의 부작용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의사에게 진찰받을 수 있게 한다.

지도포인트

지방간의 대부분은 그다지 증상이 보이지 않는데 혈액검사를 받았을 때에 가벼운 간기능 이상이 있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앞에서 말한 증상 대부분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간과하기 쉬워 급격하게 지방이 축적된 경우, 극증간염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며칠안에 죽음에 이르는 일도 있다. 따라서 초기증상이 보이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내에 의료기관에서 진찰받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발프로산나트륨은 지방간 증상이외에도 말초 또는 전신 때로는 안면에 종창이 출현하는 일도 있다. 그밖에 Reye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이 보이는 일이 있다. 즉, 경련이 심해지거나 보통때와는 다른 발작, 경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발열, 황달, 위장계의 출혈이나 斑狀皮膚出血, 두개내출혈 등을 동반하는 출혈경향, 저혈당증상이 출현한다.

병상의 진행에 따라서 의식장애가 강하여 기면경향으로부터 혼수에 이르러 사망한다. 이들 증상은 저연령(0∼2세), 다른 항전간제(페니토인, 페노바르비탈 등)과의 병용에 의해 발현빈도, 중증도가 높아지므로 병용약도 포함한 개개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도해야 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