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JD BIOSCIENCE Inc., 대표 안진희)는 연령관련 황반변성 경구용 치료제/후보물질 도출 연구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사업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과제 선정을 통해 향후 2년간 사업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PDK4 저해능과 약동학적 특성이 우수한 연령관련 황반변성 경구용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PDK4(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4)는 세포 에너지 대사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하는 효소로, 염증 반응과 병적 신생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과제의 공동연구에 참여한 경북대학교 안과 박동호 교수 연구팀은 황반변성으로 손상된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PDK4가 과발현될 경우, 신생혈관 관련 인자 분비가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는 자체 개발한 경구용 PDK4 저해제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회복시키고 염증성 환경을 개선해 병적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는 기존 황반변성 치료제로 사용되는 안구내 주사제와는 차별화된 신규 기전의 경구용 저분자화합물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치료제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를 표적으로 하는 안구내 주사제로, 눈에 직접 주사해야 한다는 특성상 환자의 공포감과 심리적 부담감이 커 순응도가 낮고,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 연구팀은 신생혈관성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에서 경구용 PDK4 저해제가 anti-VEGF 계열 치료제 아일리아(Eylea)와 동등한 수준의 신생혈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는 PDK4 저해 물질의 구조 및 약리 특성을 최적화하여 비임상 단계에 진입 가능한 후보물질을 도출할 예정이며, 보유하고 있는 PDK 저해 플랫폼과 대사·염증 질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안과 질환 영역까지 파이프라인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 변성림 연구책임자는“후보물질 도출을 신속히 진행해 2027년까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비임상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동시에 기술이전과 임상 개발이 이어지도록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후보물질)’는 경북대학교 안과 박동호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신약 기반 확충 연구(유효·선도물질)’에서 도출된 기술을 이전받아 수행하는 후속 연구다.
한편,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개발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