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정부는 방관 말라”…대한약사회, 국회 앞서 한약사 불법행위 근절 촉구
9만 약사 대표해 ‘면허 체계 바로 세워라’ 한목소리
권영희 회장 “국민 건강 위협하는 방치, 더는 용납 못 해”
국회 앞 릴레이 시위…한약사회 맞불 1인 시위도 맞대응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15 11:55   수정 2025.10.15 12:16
권영희 대한약사회장(가운데)과 임원진 및 시도지부장들이 한약사 불법행위 근절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대한약사회의 외침이 국회 앞을 울렸다.

15일 오전 11시,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는 서울 여의도 국회 1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한약사 불법행위 근절과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앞서 오전 9시부터 국회 2문에서는 전국 시·도약사회가 참여하는 제2차 릴레이 시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현장은 긴장감으로 가득했다.


△“한약사는 한약, 약사는 의약품…정부의 무책임, 국민이 피해자”
이날 기자회견에는 권영희 회장을 비롯해 노수진 총무이사, 장보현 정책이사 등 중앙회 집행부와 전국 시·도약사회장들이 총집결했다.

참석자들은 ‘약사 한약사 면허 범위 바로 세워라’, ‘정부는 즉각 분리하라’, ‘국민 건강 보장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약사 사회의 단호한 의지를 드러냈다.

권영희 회장은 회견문을 통해 “정부가 지난 30년간 한약사의 불법 행위를 방치해 면허 체계와 보건의료 시스템이 흔들리고 있다”며 “한약사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은 물론, 마약류까지 취급하고 있는 현실은 국민 건강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한약사 제도를 관리할 능력이 없다면 즉각 폐지하고, 불법 행위를 일벌백계해야 한다”며 “약사와 한약사가 각자의 면허 범위 안에서 국민 건강 증진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30년 방치, 언제까지”… 현장서 터져 나온 절규
장보현 정책이사는 “정부는 30년간 한방분업을 추진한다면서도 실질적인 조치는 하나도 없었다”며 “면허 범위를 벗어난 일반의약품 판매, 교차고용이 방치된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어 “복지부가 약사법 개정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으면서 직능 간 갈등은 물론 국민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며 “국회가 나서 법적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호소했다.

현장에서는 강원도약사회 이효선 회장과 대구시약사회 금병미 회장이 선창을 맡아 “면허 범위 바로 세워 국민 건강 보장하라”, “정부의 무원칙·무대응·무책임으로 국민 안전 무너진다”는 구호를 외쳤고, 수십 명의 약사들이 목소리를 모았다.
 

대한약사회 및 전국 시도지부가 함께한 ‘30년 방치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기자회견’ 현장.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서울시약사회 및 분회 임원들이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2차 릴레이 시위’ 첫 주자로 나섰다.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임채윤 대한한약사회장(왼쪽)이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2차 릴레이 시위 현장 옆에서 맞불 시위를 하고 있다.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국회 2문 앞 릴레이 시위 돌입…한약사회 1인 시위도 ‘대치’
이날 국회 2문 앞에선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2차 릴레이 시위’의 첫날 일정을 시작했다.

약사회는 15일부터 30일까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현장에는 서울시약사회 및 분회 임원들이 릴레이 첫 주자로 나섰으며, 피켓에는 “한약사는 약사가 아닙니다”, “약사는 약국, 한약사는 한약국! 국민 안전의 약속” 등의 문구가 적혀 있었다.

바로 옆에선 대한한약사회 임채윤 회장이 1인 시위를 진행하며 상반된 주장을 펼쳐 현장은 일시적으로 긴장된 분위기도 감돌았다.

임 회장은 “한약사=약국 개설자, 의약품=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약사법 제44조에는 면허범위라는 표현 없음” 이 쓰여진 피켓을 들고 한약사는 약국개설자로서 모든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을 판매나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쟁본부로 재편, 끝까지 간다”
한약사 문제 해결 TF 공동팀장 백경환 부회장은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TF를 ‘투쟁본부’로 확대 개편해 전국 회원 결집, 입법 대응, 불법 한약국 모니터링을 총괄할 것”이라며 “전광판 광고 차량 2대를 국회 주변에 상시 운행해 국민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백 부회장은 “약국·한약국 구분, 한약사의 일반의약품 판매 금지, 교차고용 금지 명문화 등 약사법 개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대한약사회는 끝까지 투쟁해 국민 건강권을 지켜낼 것”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대한약사회는 이날을 기점으로 한약사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릴레이 투쟁을 본격화한다.
 

대한약사회 및 전국 시도지부가 함께한 ‘30년 방치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기자회견’ 현장.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대한약사회 및 전국 시도지부가 함께한 ‘30년 방치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기자회견’ 현장.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장보현 정책이사가 발언하고 있다.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한약사 문제 해결 TF 공동팀장 백경환 부회장이 계획을 이야기하고 있다.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