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노벨 생리의학상, 메리 브랑코·프레드 람스델·사카구치 시몬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 핵심 기전 증명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06 18:42   수정 2025.10.06 20:01
2025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메리 브랑코·프레드 람스델·사카구치 시몬.©Nobel prize 공식 유튜브, 약업신문=권혁진 기자
노벨위원회가 6일(현지시간)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Nobel prize 공식 유튜브, 약업신문=권혁진 기자
©Nobel prize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인체 면역 체계가 자기 몸을 공격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원리, 즉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의 핵심 기전을 밝혀낸 △메리 E. 브런코(Mary E. Brunkow, 미국 시스템생물학연구소) △프레드 램스델(Fred Ramsdell, 미국 소노마바이오테라퓨틱스) △사카구치 시몬(Shimon Sakaguchi, 일본 오사카대학) 3인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10월 6일(현지시간)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말초 면역 관용이란, 면역계가 외부 병원체는 공격하면서도 자기 몸의 세포나 조직은 공격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생체 방어 메커니즘을 말한다.

자가면역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면역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이 과정이 무너지면 류머티즘관절염·제1형 당뇨병·루푸스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노벨위원회 위원장 올레 캠페(Olle Kampe)는 “수상자들의 발견은 면역 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며, 왜 우리 모두가 중증 자가면역질환을 앓지 않는지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시몬 사카구치,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s)’의 발견(1995)

시몬 사카구치 교수는 1995년,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하며 기존의 통념을 뒤집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대부분 학계는 흉선(thymus)에서 잠재적으로 해로운 면역세포가 제거되는 ‘중심 관용(central tolerance)’ 과정만이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사카구치 교수는 면역 체계가 훨씬 복잡하다는 점을 입증하며, 자가면역질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새로운 유형의 면역세포를 발견했다.

이 세포는 이후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s, Tregs)’로 명명됐으며,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신체의 자가 조직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균형 조절자임이 밝혀졌다.

브런코와 램스델, ‘Foxp3 유전자’의 기능 규명 (2001)

2001년, 메리 브런코와 프레드 램스델은 자가면역질환에 취약한 특정 생쥐 모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Foxp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또한 인간의 등일 유전자에서도 변이가 발생하면 중증 자가면역질환인 IPEX 증후군(Immune dysregulation, Polyendocrinopathy, Enteropathy, X-linked syndrome)이 유발된다는 점을 규명했다.

이 발견은 면역 체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분자적 기초를 제시하며, 자가면역질환 연구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두 발견의 연결  - ‘Foxp3’가 조절 T세포 발달을 지배 (2003)

2003년, 사카구치 교수는 브런코·램스델의 발견과 자신의 연구를 연계시켜 Foxp3 유전자가 조절 T세포의 발달을 결정짓는 핵심 전사인자임을 증명했다.

즉, Foxp3는 1995년 그가 처음 확인했던 조절 T세포의 생성과 기능을 지배하는 ‘마스터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조절 T세포는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감시·억제하며, 면역 체계가 자가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핵심 조절자로 작용한다.

노벨위원회는 “세 과학자의 발견은 면역 관용의 새로운 축인 ‘말초 면역 관용’ 개념을 정립했다”면서 “이 연구들은 자가면역질환과 암의 새로운 치료 전략, 장기 이식의 성공률 향상 등 의학 전반에 중대한 파급효과를 미쳤으며, 현재 이 원리를 응용한 면역 조절 치료법들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