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의료기기산업 시장 규모가 최근 5년간 연평균 8.3% 성장하며 지난해 10조 7,27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무역수지는 5,878억원(4.5억달러) 흑자로, 2020년 이후 4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고, 디지털 의료기기는 4년 연속 수출액이 증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8일 낸 '2023년도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실적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수입․수출실적 주요 특징은 ▲의료기기 시장규모 지속 증가세 ▲코로나19 회복에 따라 체외진단의료기기 생산‧수출 감소 ▲디지털 의료기기 수출 비중 증가 ▲치과용임플란트 생산 및 수출액 1위 회복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및 종사자 전년 수준 유지 등이다.
< 의료기기 시장규모 지속 증가 >
2023년 의료기기 총 생산액은 11조 3,148억원으로 2022년 대비 28.1% 감소했다. 체외진단의료기기는 1조 1,843억원(-80.4%), 그 외 일반의료기기 생산액은 10조 1,304억원(+4.5%)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에 따라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생산‧수출이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10조 7,270억원으로 2022년 대비 일시적으로 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37.5% 증가한 수치로,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지난 5년 간 연평균 성장률 8.3%를 기록했다.
< 코로나19 회복 따라 체외진단의료기기 생산‧수출 감소 >
2020년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시행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던 체외진단의료기기 2023년 생산액은 1조 1,843억원, 수출액은 1조 1,236억원(8.6억달러)으로 2022년 대비 각각 80.4%, 75.7%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5월 코로나19 위기 단계 하향 조정에 따라 코로나19 검사키트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 디지털 의료기기 수출 비중 증가 >
디지털 의료기기 국내 시장규모는 2020년 3,244억원에서 2023년 4,099억원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의료기기 전체 수출액에서 디지털의료기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4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된 디지털 의료기기 수출은 지난 4년간 연평균 약 311.7% 증가율을 보이며 급성장했다. 또 지난해 수입 규모에 비해 국내 제조(생산) 규모가 약 5배 더 큰 수준으로 국산 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성장 잠재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 치과용임플란트 생산 및 수출액 1위 회복 >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생산액과 수출액은 최근 4년간 연평균 각각 24.4%, 29.9%의 증가율을 보이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는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검사키트 등 체외진단의료기기 생산 증가로 국내 생산액 1위 품목의 자리를 내줬으나 지난해 생산액 및 수출액 모두 1위 자리를 되찾았다.
또 코로나19 회복에 따른 사회활동 증가 영향으로 ‘필러’ 등 조직수복용생체재료(26.8%),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6.5%),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9.8%)가 전년 대비 지난해 생산액 증가율이 높은 품목으로 나타났다.
<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및 종사자 전년 수준 유지 >
지난해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2022년(4,176개소) 대비 1.1% 증가한 4.223개소였다. 지난해 체외진단의료기기 생산량의 큰 폭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조․수입업체 수는 총 7,186개(제조 4,223개소, 수입 2,963개소)로 2022년 7,187개소와 비교해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 2023년 실적보고 업체 기준, 체외진단업체 포함)
또 지난해 의료기기 제조업체 종사자 수도 2022년(89,333명) 대비 0.2% 증가한 89,487명이었으나, 제조․수입업체 종사자 수는 총 144,925명으로 2022년(145,826명) 대비 0.6% 소폭 감소했다. (체외진단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종사자는 총 24,775명으로 전체 의료기기 업체 종사자 중 17.1% 차지)
![]() |
![]() |
01 | 엔에프씨, 유산균 유래 PDRN으로 북미 시장... |
02 | 메쥬,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기술성평가 통과 |
03 | 뉴로핏, 청약경쟁률 1922.75대 1-증거금 6.7... |
04 | 젠바디, 호흡기 감염병 ‘hMPV 신속진단제품... |
05 | 코아스템켐온 "오가노이드 구축한다…에이티... |
06 | 파로스아이바이오 윤정혁 대표, 자사주 매입... |
07 | 로킷헬스케어, 글로벌 투자자로 300억원 전... |
08 | 프로티나, 공모가 1만4000원…수요예측 경쟁... |
09 | K-뷰티 북미 공략 본격화… 'CPNA 2025' 한국... |
10 | "VC·AC 주목해주세요" 유망 스타트업 투자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