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피젠트’ 최초 COPD 생물의약품 자리매김하나
2번째 임상 3상서 증상 악화 34% ↓..첫 3상 결과 재확인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1-28 12:11   

사노피社 및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社가 만성 폐쇄성 페질환(COPD)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아토피 피부염‧천식 치료제 ‘듀피젠트’(두필루맙)의 두 번째 임상 3상 ‘NOTUS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27일 공표했다.

‘듀피젠트’를 투여한 환자그룹에서 증상 악화율이 34% 낮게 나타남에 따라 앞서 첫 번째 임상 3상 ‘BOREAS 시험’에서 확보되었던 긍정적인 결과에 한층 더 무게를 싣게 해 주었다는 것이다.

‘NOTUS 시험’에서는 또한 ‘듀피젠트’를 투여한 환자그룹에서 12주차에 평가했을 때 폐 기능이 신속하고 괄목할 만하게 개선된 데다 52주차까지 그 같은 효능이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3상 ‘NOTUS 시험’은 조절할 수 없는 COPD 증상을 나타내면서 2형 염증(예: 혈중 호산구 수치 300/μL 이상)을 동반하고, 표준 흡입요법제로 치료를 진행 중인 성인환자들을 대상으로 ‘듀피젠트’ 또는 플라시보를 추가투여하면서 효능을 평가한 시험례이다.

중간분석에서 이처럼 괄목할 만하고 긍정적인 효능이 도출되면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됨에 따라 이 결과는 ‘NOTUS 시험’의 주요 분석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노피 및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양사는 이 시험자료를 또 다른 임상 3상 ‘BOREAS 시험’에서 확보된 긍정적인 결과와 함께 연말까지 FDA에 제출할 예정이다.

사노피社의 나미쉬 파텔 글로벌 면역학‧염증 개발담당 대표는 “COPD 치료제로 개발 중인 생물학적 제제가 2건의 임상 3상 시험에서 괄목할 만한 데다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증상 악화의 감소 효능이 입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자 유일한 사례”라면서 “덕분에 우리가 지난 10여년 동안 새로운 치료제가 허가되지 못했던 증상에 대응하기 위해 ‘듀피젠트’를 조속한 시일 내에 환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이번에 공개된 자료를 보면 ‘듀피젠트’가 중등도에서 중증에 이르는 COPD 환자들에 대한 치료결과를 바꿔놓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에 무게를 싣게 한다”며 “증상을 조절할 수 없는 COPD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들의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를 감안할 때 ‘듀피젠트’의 새로운 적응증을 개발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중단되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텔 대표는 또 “우리의 두 번째 COPD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인 이테페키맙(itepekimab)이 오는 2025년에 관련자료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긍정적인 자료가 확보될 경우 ‘듀피젠트’와 이테페키맙이 증상의 재발 악화를 동반하고 중등도에서 중증에 이르는 전체 COPD 환자들 가운데 80% 정도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들로 각광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FDA는 올초 ‘듀피젠트’를 조절할 수 없는 COPD 증상을 나타내고 악화 전력이 있는 성인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보조 유지요법 용도의 ‘혁신 치료제’로 지정한 바 있다.

‘BOREAS 시험’에서 도출된 긍정적인 결과와 호산구 표현형 또한 ‘혁신 치료제’ 지정 결정에 참조됐다.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社의 조지 D. 얀코풀로스 대표 겸 최고 학술책임자는 “임상 3상 ‘NOTUS 시험’에서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COPD 증상의 악화가 34% 감소한 것으로 입증되면서 괄목할 만한 결과가 도출된 것에 대단히 고무되어 있다”면서 “이를 통해 우리가 첫 번째로 진행했던 임상 3상 ‘BOREAS 시험’에서 확보되었던 예상치 못했던 결과에 한층 무게를 실을 수 있게 된 것”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두 시험에서 확보된 결과는 만성적이고 파괴적인 증상에서 2형 염증의 역할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입증한 것이자 ‘듀피젠트’가 이 같은 염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을 것임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얀코풀로스 대표는 이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FDA에 관련자료가 제출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언급했다.

‘NOTUS 시험’은 현재 흡연자이거나 과거에 흡연을 했던 40~85세 연령대 성인환자 총 935명을 충원한 후 무작위 분류를 거쳐 최적의 표준 흡입요법제에 더해 각각 ‘듀피젠트’(470명) 또는 플라시보(465명)를 투여하면서 진행됐다.

그 결과 ‘듀피젠트’를 투여한 피험자 그룹은 52주차에 평가했을 때 중등도 또는 중증의 급성 COPD 악화가 나타난 비율이 34% 낮은 수치를 보이면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이와 함께 12주차에 평가했을 때 ‘듀피젠트’ 139mL를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 플라시보 57mL를 투여한 대조그룹에 비해 괄목할 만하게 관찰된 폐 기능 개선효과가 52주차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핵심적인 이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안전성을 보면 ‘듀피젠트’는 현재까지 허가를 취득한 각종 적응증들과 관련해서 확보된 안전성 프로필과 일반적으로 궤를 같이했다.

부작용이 수반된 총 비율을 보면 ‘듀피젠트’ 투여그룹에서 67%,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66%로 집계됐다.

‘듀피젠트’를 투여한 그룹에서 좀 더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들로는 ‘코로나19’, 비인두염 및 두통 등이 보고됐다.

반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는 COPD 증상 등이 좀 더 다빈도로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가 사망에 이른 부작용이 보고된 비율을 보면 ‘듀피젠트’ 투여그룹에서 2.6%,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1.5% 등으로 분석됐다.

‘NOTUS 시험’에서 확보된 상세한 결과는 차후 의학 학술회의 석상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NOTUS 시험’에서 나타난 효능 결과는 앞서 ‘BOREAS 시험’에서 도출되어 공개되었던 내용과 대동소이했다.

‘BOREAS 시험’의 경우 52주차에 평가했을 때 중등도 또는 중증 급성 COPD 증상의 악화가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된 가운데 ‘듀피젠트’ 160mL를 투여한 피험자 그룹을 12주차에 평가했을 때 플라시보 77mL를 투여한 대조그룹에 비해 괄목할 만한 폐 기능 개선이 관찰되었고, 52주차까지 유지된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NOTUS 시험’에서 도출된 안전성 결과를 보면 ‘BOREAS 시험’에서 확보되어 공표된 내용과 대동소이했다.

‘BOREAS 시험’에서 부작용이 수반된 총 비율은 ‘듀피젠트’ 투여그룹에서 77%,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76%로 조사됐다.

‘듀피젠트’를 투여한 그룹에서 좀 더 빈도높게 관찰된 부작용들로는 두통, 설사 및 요통 등이 보고됐다.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좀 더 다빈도로 보고된 부작용들로는 상기도 감염증, 고혈압 및 ‘코로나19’ 등이 관찰됐다.

피험자가 사망에 이른 부작용이 수반된 비율의 경우 ‘듀피젠트’ 투여그룹에서 1.5%,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1.7%로 집계됐다.

한편 유럽 의약품감독국(EMA)은 2형 염증을 동반하고 증상을 조절할 수 없는 COPD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승인해 주도록 하는 내용으로 제출된 양사의 허가신청 건과 관련, ‘BOREAS 시험’의 결과를 근거로 심사를 진행 중이다.

마찬가지로 기타 세계 각국의 보건당국들도 ‘듀피젠트’의 COPD 적응증 승인 유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COPD에서 ‘듀피젠트’의 효능 및 안전성은 아직 시험이 진행 중인 단계에서 세계 어느 국가의 보건당국에 의해서도 아직 완전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한 단계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