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 무진행 생존기간 ↑
국소진행성/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 임상 3상 결과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7-05 06:00   수정 2023.07.05 06:01

아스트라제네카社가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potamab deruxtecan)이 나타낸 무진행 생존기간 연장효과를 입증한 임상 3상 ‘TROPION-Lung01 시험’의 결과를 3일 공개했다.

최소한 한차례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NSCLC)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을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결과 현행 표준 항암화학요법제인 ‘탁소텔’(도세탁셀)을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무진행 생존기간과 관련한 두가지 일차적 시험목표들이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하게 개선된 것으로 입증되었다는 것.

이에 따르면 총 생존기간과 관련한 일차적 시험목표는 아직까지 도출되지 않은 가운데 중간분석에서 사전에 정한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차이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탁소텔’을 투여한 대조그룹에 비해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을 사용한 환자그룹에서 유익성이 크게 나타나는 초기 추이가 관찰됐다.

‘TROPION-Lung01 시험’은 좀 더 완전한 총 생존기간 평가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예정대로 지속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시험에 참여한 연구자들과 피험자들은 맹검 상태가 유지된다.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앞서 이루어진 임상시험례들로부터 관찰된 내용과 대동소이했으며, 안전성 측면에서 새로운 문제점의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

수반된 간질성(間質性) 폐질환의 등급 또한 앞선 시험례들로부터 관찰된 내용과 일반적으로 궤를 같이한 가운데 대부분은 저등급으로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5급 부작용의 경우 일부에서 관찰됐다.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은 유전자 변형 TROP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ADC)의 일종으로 아스트라제네카社와 다이이찌 산쿄社가 공동으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TROP2는 대부분의 폐암에서 고도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폐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TROP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가 허가를 취득한 전례는 부재한 형편이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수잔 갤브레이스 항암제 연구‧개발 담당부회장은 “임상 3상 ‘TROPION-Lung01 시험’에서 우리는 무진행 생존기간과 관련한 두가지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되었음을 목격했다”면서 “이는 앞서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무작위 환자그룹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표준요법제에 도전할 수 있게 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의 임상 프로그램에서 처음으로 도출된 임상 3상 시험결과를 보면 이 TROP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가 폐암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음이 강하게 입증된 것이라고 갤브레이스 부회장은 의의를 강조했다.

다이이찌 산쿄社의 켄 다케시다 글로벌 연구‧개발 담당대표는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으로부터 관찰된 무진행 생존기간 관련 두가지 일차적 시험목표에서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결과가 확보된 것에 고무되어 있다”면서 “최종 총 생존기간 분석결과를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확보된 자료의 경우 다음 단계를 논의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보건당국들과 공유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은 매년 세계 각국에서 100만명 이상의 환자들이 진단받고 있는 형편이다.

면역요법제들과 표적요법제들이 전이기 단계에서 1차 약제로 사용되어 치료효과를 향상시켜 주고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결국 종양이 진행되면서 항암화학요법제를 투여받게 된다.

항암화학요법제는 다른 치료대안이 부재한 데다 치료효과가 제한적이고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음에도 불구, 지난 수 십년 동안 미지막 단계의 치료제로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TROPION-Lung01 시험’에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등과 같은 활동성(actionable) 유전체 변이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환자들이 피험자로 충원됐다.

이 중 활동성 유전체 변이를 동반한 피험자들은 앞서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와 한가지 허가를 취득한 표적요법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활동성 유전체 변이를 동반하지 않는 피험자들의 경우 앞서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1(PD-1) 저해제 또는 프로그램 세포사멸-리간드 1(PD-L1) 저해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전력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TROPION-Lung01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는 임박한 의학 학술회의에서 발표되고, 각국의 보건당국들과 공유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