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셀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듀셀바이오)는 지난 5일 인공혈소판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산·학·연·병 컨소시엄을 구성해 출범했다고 밝혔다.
![]() |
이번 컨소시엄에는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 엑셀세라퓨틱스,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상용화지원센터,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등이 참여했다.
헌혈을 통해서만 공급이 가능한 혈소판은 혈액 내 지혈작용을 하는 주요 성분으로 골수내 거핵세포로부터 만들어진다. 또 응급수혈 및 항암치료나 약물치료로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 치료에 적용된다. 고령화 사회와 Covid-19과 같은 감염성 질환의 유행으로 헌혈 인구가 감소하면서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혈소판 부족 현상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공혈소판을 개발하여 충분한 공급을 해주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듀셀바이오 이민우 대표는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시점에서 인간 줄기세포유래 인공혈소판 개발 및 상용화 프로젝트는 의료계 내 미충족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아이템으로 이번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산·학·연·병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 분야 전문기관의 협업으로 인한 시너지로 인공혈소판 개발 및 대량생산과 이를 통한 상업화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듀셀바이오는 인간 줄기세포 분화 유래 인공혈소판을 개발 및 생산, 분석법 구축과 in vitro 및 in vivo 효능 확인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다. 또한 컨소시엄 구성을 위해 사전에 각 기관과의 인공혈소판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각 기관의 R&R에 대해 조율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번 컨소시엄에서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의과대학 허진 교수)은 줄기세포 분화 기술 및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응용하여 인공혈소판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주를 개발하는 역할을 맡았다.
허진 교수는 “현재 듀셀바이오가 개발하고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 (iPSC) 유래 인공혈소판 생산 세포주에 혈소판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를 삽입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며,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외의 다른 조직 유래 줄기세포에서 인공혈소판을 생산할 수 있는 세포주를 새롭게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상용화지원센터 이은교 센터장은 “첨단바이오 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인프라를 기반으로 인공혈소판의 대량 생산을 위한 세포배양 및 정제 등의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 연구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공혈소판 생산 프로세스 최적화 연구에서 필수적인 배양 배지 개발은 엑셀세라퓨틱스가 맡기로 했다. 엑셀세라퓨틱스 이의일 대표는 “당사의 글로벌 수준의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 개발 경험을 토대로 인공혈소판 생산 세포주에 최적화된 배지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는 인공혈소판의 임상 진입을 위한 IND 제출 및 승인을 지원하기로 했다. 임동석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 대표는 “국내에서 최초로 줄기세포 분화 유래 인공혈소판의 임상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많은 부분에서 논의와 조율이 필요하겠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꼭 필요한 일이기에 도전하고 개척하는 마음으로 본 컨소시엄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인공혈소판 개발 TPP(Target Product Profile) 설정 및 상용화를 위한 임상시험은 삼성서울병원에서 맡아 진행하기로 했다.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유건희 교수(소아혈액종양전문의)는 “듀셀바이오가 개발하고자 하는 줄기세포 유래 인공혈소판은 실제 의료 현장에서 많은 환자가 필요로 하는 혈액 유래 혈소판의 공급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에서의 needs를 파악하고 혈소판의 효능과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여 임상에 진입한다면 빠르게 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듀셀바이오 관계자는 본 컨소시엄은 6개 기관이 참여해 그 첫발을 떼었지만, 인공혈소판 개발은 첨단 바이오 기술의 집약체로 많은 전문 기관들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앞으로도 컨소시엄에 참여 의사가 있는 기관들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할 기회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01 | 국내 CNS 치료제 분야 1위 명인제약,유가증... |
02 | 생명연 "디지털바이오·AI 융합 '간암 비침습... |
03 | 위고비, 비만치료제 최초 대사 이상 관련 지... |
04 | 신일제약, 상반기 매출 388억…영업이익 37% ... |
05 | 셀리드, 감염병 대응 전임상시험 지원사업 선정 |
06 | 진스크립트, 새로운 글로벌 정체성 '가능성... |
07 | 네이처셀, '희비' 교차 '조인트스템' 국내... |
08 | 에이프로젠, 호주 식약청서 면역항암제 중저... |
09 | 유방암 치료, 상급종합병원 90% 1등급…간암... |
10 | 미국 관세 부과, 인도-중국 관계 개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