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이티지엠피의 계열사 브이티바이오는 면역조절 핵심세포인 조절T세포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및 사고력 저하 등을 유발하는 질병이며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최근 아두헬름이라는 항체 치료제가 FDA에서 품목 승인 후 판매되고 있으나 이상반응 및 그 효과에 대한 문제 제기로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는 치료제 시장이다.
브이티바이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VT301은 알츠하이머병의 질병원인을 과도한 면역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뇌 속에서 일어나는 면역작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세아교세포를 조절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VT031은 국내 임상 1상 마무리 중이며, 미국 1/2a 임상시험을 승인받은 상태이다.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으로 일컫는 ‘아밀로이드 가설’을 뒷받침하는 미네소타 대학 살뱅 레스네 박사의 논문(2006년 학술지 네이처 게재)이 조작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조사 끝에 그 가능성이 크다고 밝혀졌다. 이 논문은 알츠하이머병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며, 내용은 Aβ*56 을 동물에 투여 시에 인지장애를 확인했다는 내용이다.
베타 아밀로이드를 타깃팅하는 항체치료제 개발은 결국 베타 아밀로이드를 없애는 임상적 결과를 확보하고 있으나, 인지기능 개선은 저조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바이오마커 또는 기전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이 학계와 의료계에서 강력히 제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