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8일부터 13일(현지시간)까지 엿새 동안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되는 2022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 2022)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국제 무대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2022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 포스터 발표세션 현장에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관계자가 BBT-207 전임상 데이터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를 표적 치료하는 신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로 개발되고 있으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자체 발굴한 개발 후보물질로 알려져 있다.
행사 닷새째인 12일, 회사는 포스터 세션을 통해 ▲세포 및 동물실험 기반 BBT-207의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저해능 그리고 ▲동물 모델에서의 BBT-207의 약동학적 평가 결과 등을 중심으로 세포 및 동물 실험 등 전임상 연구의 주요 데이터를 공개하며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를 중심으로 한 BBT-207의 종양 억제 효능 및 향후 개발 전략을 소개했다.
먼저, 세포 기반 약물 효능 평가 결과에 따르면 BBT-207은 기존 비소세포폐암 3세대 약물을 1차 치료제로 복용했을 때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돌연변이 포함 이중 돌연변이인 ‘DC(Del19/C797S)’ 또는 ‘LC(L858R/C797S)’를 억제하는 효능이 기존 약제 대비 경쟁력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험관 내 (in-vitro) 실험을 통해 암의 성장과 관련된 EGFR 인산화 활성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를 살피는 IC50 값을 살핀 결과, C797S 포함 이중 돌연변이인 DC와 LC 기준 오시머티닙의 IC50 값은 각각 304.4nM, 573.7nM로 나타난 반면, BBT-207은 모두 0.8nM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적은 농도로 C797S 이중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BBT-207의 EGFR 인산화 활성 저해능은 EGFR 활성변이를 발현하는 Ba/F3 세포주 대상 실험에서도 기존 치료제 대비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저해 경쟁력을 확인했다.
한편, 세포 기반 실험을 통해 확인한 BBT-207의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저해능은 동물 실험을 통해 투약 기간에 따른 종양 크기 관찰로 구체화됐다.
C797S를 포함한 이중 돌연변이(LC)가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약물 반응 지속 기간을 관찰한 결과, BBT-207이 용량 비례적으로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으며 최대 40mg/kg으로 BBT-207을 1일 1회 경구 투약한 경우 2주 이상 항종양 효능이 이어진 것으로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BBT-207은 고용량 투약 시 T790M 양성 이중 돌연변이 ‘DT(Del19/T790M)’ 및 ‘LT(L858R/T790M)’를 비롯해 암유발 원인 돌연변이 2종(Del19, L858R)에서 오시머티닙 대비 높은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 비소세포폐암의 초기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소개됐다.
아울러, 이번 발표를 통해 동물 모델에서의 BBT-207의 약동학적(Pharmacokinetics) 평가도 공개됐다. 개, 원숭이 등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BBT-207 단회 투약 후 혈중 약물 농도의 흐름을 살핀 결과, 24시간 이상 IC50 이상의 혈중 약물 노출이 유지돼 BBT-207의 1일 1회 복용에 대한 약동학적 근거를 확보한 것으로 설명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발굴생물학 총괄을 담당하는 지미 진(Jimmy Jin) 부사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소세포폐암 치료를 위한 3세대 표적치료제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중 돌연변이 등 다양한 내성 케이스에 대응하는 신규 약제에 대한 수요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AACR에서 발표한 전임상 결과와 같이, BBT-176과는 차별화된 BBT-207의 약물 효능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내성 돌연변이를 억제해 효과적인 비소세포폐암 치료 솔루션을 하루빨리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3세대 EGFR 표적 폐암치료제인 오시머티닙이 1차 치료제로 처방 확대되는 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시장이 급변함에 따라,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등 다양한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치료 옵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미충족 의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는 지난해 11월 BBT-207을 자체 발굴 후보물질로 선정하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BBT-207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하고 내년 환자 대상 임상에 진입할 목표로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회의(AACR Annual Meeting)는 종양학 분야 세계 최대 국제학술행사 중 하나로, 매년 4월 전세계 종양학 관련 연구자 및 제약·바이오 전문가를 주요 대상으로 암 관련 기초 및 임상 연구를 공유하는 대규모 학회를 개최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2022 AACR 연례학술회의를 통해 공개한 포스터는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