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바이오로직스, 큐어에이아이와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착수
CAR-T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제 병용요법 개발 등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2-22 11:38   

항체신약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영우)가 미국 바이오 벤처 큐어에이아이(KURE.AI)와 손잡고 차세대 면역항암제인 CAR-T를 비롯해 다양한 신약 물질 발굴에 나선다.

양사는 22일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MOU(사전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양사는 ▲CAR-T 기반 세포치료제 개발 ▲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제의 병용요법 개발 ▲인공지능 기반의 항암 타깃 발굴 및 항체치료제 개발 등의 연구 개발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

무엇보다 이번 MOU는 국내를 대표하는 항체신약개발 전문기업인 와이바이오로직스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혁신 바이오 벤처의 결합으로 관심이 집중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07년 회사 설립 이후 다양한 기업들과 오픈 이노베이션 및 라이선스 아웃(L/O)를 통해 신약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2020년 12월에는 레고켐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한 ADC 신약 후보물질로 약 3억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켰고, 지난해에는 유럽의 빅파마인 피에르파브르에 항체약물 YBL-003의 기술 이전을 성공한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박영우 대표는 “최근 신약 개발과정에서 AI플랫폼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면서 “이번 큐어에이아이와의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큐어에이아이는 글로벌 병원 중 한 곳으로 꼽히는 Mayo Clinic의 황태현 교수와 Cleveland Clinic의 데이비드 왈드 교수, University of Cambridge의 한남식 교수가 공동창업한 AI 기반 세포치료제 기업이다.

큐어에이아이는 다른 CAR-T 치료제에 비해 배양시간이 월등히 짧아 빠른 연구 개발이 가능한 CAR-T 제조 플랫폼을 비롯해 AI를 활용한 신규 타깃 및 바이오마커 발굴 등 혁신적 바이오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큐어에이아이의 David Wald 대표는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항체 기반 신약 개발을 추진 중인 와이바이오로직스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되어 기쁘다. 항체, 세포치료제, AI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