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노화 신약 개발 기업 하플사이언스(대표이사 최학배, 김대경)는 11일 최고의료책임자(CMO)로 윤장수 상무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규 임원 영입으로 2022년 임상 진입을 예고한 하플사이언스의 귀추에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플사이언스에 새롭게 합류한 윤장수 CMO는 200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2016년 임상약리학 인정의 자격을 취득했고, 일본 베링거인겔하임과 한국 베링거인겔하임의 임상 시험 프로젝트 리더로 근무하면서 다년간 임상 연구 전문가로 활약했다.
윤장수 CMO는 하플사이언스에서 치료제의 임상 업무를 진두지휘하고, 내년부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하며 본격적으로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하플사이언스는 노인성 질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다. 골관절염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피부노화, 탈모 등 다양한 항노화 분야의 신약을 개발 중이다. 노인성 질병들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높지만, 본질적인 치료법은 없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노인성 질병 극복을 위한 신약을 개발하는 하플사이언스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하플사이언스는 골관절염 치료제 `HS-101`과 만성폐쇄성폐질환치료제 `HS-401`의 임상 시험을 향해 개발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HS-101`은 2022년 비임상 시험들을 완료하고 2022년 내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HS-401` 역시 2022년 비임상 시험 완료 후 임상 1상에 진입을 계획 중이다.
하플사이언스 관계자는 “윤장수 CMO와 함께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임상 개발 전문가인 윤장수 CMO와 함께 하플사이언스의 우수한 자산들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임상 시험을 빈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9월 28일 하플사이언스의 피부노화 개선제 `HS-201`의 피부노화 개선용도 기술이 미국 특허청(USPTO)에 등록이 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