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불응성 또는 재발성 외투세포(外套細胞) 림프종(MCL)을 치료하는 용도의 세포 기반 유전자 치료제 ‘테카터스’(Tecartus: 브렉수캅타진 오토류셀‧‘KTE-X19’)이 24일 FDA의 허가를 취득했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T세포 치료제의 일종인 ‘테카터스’는 외투세포 림프종 치료제로는 처음으로 FDA의 허가를 취득한 세포 기반 유전자 치료제이다.
‘테카터스’는 미국 캘리포니아州 산타모니카에 소재한 카이트 파마社(Kite Pharma)가 허가를 신청했던 치료제이다. 카이트 파마社는 지난 2017년 8월 길리어드 사이언스社에 의해 인수되었던 제약사이다.
FDA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DBER)의 피터 마크스 소장은 “파괴적인 난치성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요법제들의 개발에 놀라운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며 “이번에 ‘테카터스’가 허가를 취득한 것은 과학적인 진보의 힘을 빌리면서 환자들 자신의 면역계를 이용해 암과의 싸움을 돕는 맞춤(customized) 치료제 개발의 또 다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의를 강조했다.
그는 뒤이어 “우리는 유전자 치료제 분야에서 지속적인 진일보를 목격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처럼 유망하고 새로운 치료영역의 혁신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외투세포 림프종은 드물게 발생하는 암성 B세포 비 호지킨 림프종의 한 유형으로 중년층 또는 고령층 성인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외투세포 림프종 환자들은 감염증과의 싸움을 돕는 백혈구의 일종인 B세포들이 암세포들로 변화해 림프절 내부에서 종양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체내의 다른 부위로 신속하게 전이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테카터스’의 개별 투여분은 환자들 자신의 면역계를 이용해 만든 맞춤 치료제로 림프종과의 싸움을 돕게 된다.
백혈구의 일종인 환자의 T세포들을 모아 유전적 변형을 통해 림프종 세포들을 표적으로 작용해 사멸에 이르도록 촉진하는 새로운 유전자가 포함되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유전적으로 변형된 T세포들을 환자들에게 다시 주입하게 된다.
‘테카터스’의 효능 및 안전성은 성인 불응성 또는 재발성 외투세포 림프종 환자 60명을 충원해 진행되었던 1건의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 확립됐다.
환자들은 처음 객관적 질병반응이 나타난 후 최소한 6개월 동안 추적조사를 받았다.
그 결과 ‘테카터스’로 치료를 진행한 후 87%에서 객관적 반응률을 내보인 가운데 62%에서 완전관해율을 나타냈다.
‘테카터스’의 제품라벨에는 CAR-T세포들이 활성을 나타내고 증식하는 데 전신이 반응해 고열과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들이 수반되는 사이토킨 방출 증후군 및 신경독성에 유의토록 하는 돌출주의문(boxed warning)이 삽입된 가운데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이토킨 방출 증후군 및 신경독성은 치명적이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장 빈도높게 나타난 ‘테카터스’의 부작용을 보면 중증 감염증, 낮은 혈구 수치 및 면역계 약화 등이 관찰됐다. 이 같은 부작용들은 대부분 치료 후 1~2주 이내에 나타났지만, 일부 부작용은 훨씬 이후 시점에서 수반될 수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이토킨 방출 증후군 및 신경독성으로 인해 ‘테카터스’는 안전사용 보장조치(ETASU)를 포함한 위험성 평가‧완화전략(REMS)을 이행토록 허용받았다.
위험성 완화를 위한 조치들은 또 다른 CAR-T세포 치료제인 성인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제 ‘에스카타’(악시캅타진 실로류셀)에 적용되고 있는 위험성 평가‧완화전략과 동일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FDA는 ‘테카터스’의 장기 안전성을 좀 더 심도깊게 평가하기 위해 카이트 파마 측에 시판 후 관찰시험을 진행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테카터스’는 ‘가속승인’, ‘신속심사’, ‘혁신 치료제’ 및 ‘희귀의약품’ 지정을 거친 끝에 마침내 이번에 허가 취득을 위한 최종관문을 넘어섰다.
01 | SCL사이언스, 서울의과학연구소 영업 양수 ... |
02 | 온코닉테라퓨틱스 항암신약 네수파립, 호주 ... |
03 | 코스맥스, ‘소셜아이어워드 2025’ 인스타그... |
04 | 지아이이노베이션, 차세대 알레르기 치료제 ... |
05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2025 임상시험 전문... |
06 | 동화약품,1897년 창업터 신사옥 건립...28... |
07 | 대웅, ‘디지털트윈’으로 바이오의약품 생산 ... |
08 | 로킷헬스케어, 복합장기 바이오프린터 미국 ... |
09 | 알테오젠,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럭스... |
10 | "꿈팔던 시대는 끝, 수치로 증명해야" 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