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社가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팀의 주도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AZD1222’의 임상 1/2상 ‘COV001 시험’의 중간 분석자료를 20일 공개했다.
‘AZD1222’가 평가를 진행한 전체 피험자들에게서 양호한 내약성과 함께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해 강력한(robust) 면역반응을 나타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COV001 시험’은 18~55세 연령대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 총 1,077명을 충원한 후 맹검법, 다기관, 무작위 분류 방식으로 진행 중인 임상시험례이다.
이 시험에서 ‘AZD1222’ 또는 뇌수막염 접합백신 ‘MenACWY’를 1회 투여한 후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0명의 피험자들은 한달 간격으로 ‘AZD1222’를 2회 투여받았다.
의학저널 ‘란셋’誌에 ‘SARS-CoV-2를 억제하는 ChAdO×1 nCoV-19 백신의 안전성 및 면역원성’ 제목으로 20일 게재된 보고서를 보면 ‘AZD1222’를 1회 투여받은 피험자들의 경우 한달 후 95%에서 SARS-CoV-2 바이러스 돌기 단백질에 대항하는 항체들이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체 피험자들에게서 T세포 반응이 유도되어 14일차에 최고치에 도달했고, 투여 후 2달이 경과한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됐다.
SARS-CoV-2에 대항하는 중화활성을 보면 투여 후 한달이 경과한 시점에서 전체 피험자들의 91%에서 관찰되었고, 2회 투여한 피험자들의 경우에는 100%에서 확인됐다.
‘AZD1222’를 1회 또는 2회 투여받았던 피험자들에게서 나타난 중화항체 수치를 보면 회복기 ‘코로나19’ 환자들에게서 관찰된 것과 유사했다.
초기 안전성 반응을 보면 ‘AZD1222’를 투여한 그룹에서 일과성 국소 및 전신반응이 빈도높게 나타난 가운데 앞선 시험례들이나 다른 아데노바이러스 매개체 백신에서 관찰된 내용과 대동소이했다.
일시적인 주사부위 통증, 압통, 경도에서 중등도에서 이르는 두통, 피로, 오한, 발열, 신체 불쾌감 및 근육통이 관찰되었다는 의미이다.
또한 ‘AZD1222’를 투여받은 그룹에서 중증 부작용이 발생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아울러 이 같은 반응은 예방 목적으로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또는 파라세타몰)을 복용했을 때 줄어들었고, 2회 투여한 후 발생빈도가 감소했다.
옥스퍼드대학에서 이루어진 ‘옥스퍼드 백신 시험’의 총괄자이자 ‘COV001 시험’ 결과의 공동저자인 앤드류 폴라드 교수는 “우리가 진행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의 임상 1/2상 중간 분석자료를 보면 ‘AZD1222’가 예상치 못했던 반응을 유도하지 않았으며, 같은 유형의 다른 백신들과 일치하는 안전성 프로필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뒤이어 “백신을 투여한 후 관찰된 면역반응이 우리가 예상한 내용과 궤를 같이했지만, 보다 확실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임상시험 프로그램을 철저하게 지속해 나가야 한다”며 “이 백신을 2회 투여받은 피험자들에게서 가장 강력한 면역반응이 나타난 것은 ‘AZD1222’가 우수한 백신 접종전략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메네 팡갈로스 신약개발 담당부회장은 “우리는 ‘AZD1222’가 SARS-CoV-2에 대항하는 신속한 항체 및 T세포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임을 입증한 임상 1/2상 시험 중간 분석자료를 도출한 것에 고무되어 있다”며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지만, 오늘 공개한 자료가 이 백신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확신을 배가시켜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AZD1222’를 대량으로 제조해 세계 각국에서 공평한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팡갈로스 부회장은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에 따르면 ‘AZD1222’의 임상 2/3상 시험은 현재 영국, 브라질 및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진행 중이며, 미국에서는 착수를 앞두고 있다.
이들 시험에서는 ‘AZD1222’가 ‘코로나19’를 예방하는 데 나타내는 효과를 관찰하고, 다양한 연령대 및 용량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면역반응을 평가하는 절차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아울러 임상 2/3상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이 백신이 광범위하고 공평한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힘을 기울인다는 복안이다.
지금까지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영국, 미국, 유럽 포괄백신동맹(IVA: Inclusive Vaccines Alliance),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및 인도 백신제조기업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社(SII) 등과 총 20억 도스분 이상의 ‘AZD1222’를 공급키로 합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