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社는 영국 옥스퍼드대학이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AZD1222’에 대한 접근성이 세계 각국에서 공평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세계 각국 뿐 아니라 다양한 기관들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 중이다.
최소한 4억 도스분의 ‘AZD1222’를 생산키로 하는 내용의 합의를 처음 도출한 데 이어 지금까지 총 10억 도스분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역량을 구축했을 정도. 뒤이어 오는 9월에는 첫 번째 공급에 착수할 예정이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차후 수 개월 동안 제조역량을 추가로 확대해 세계 각국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아스트라제네카社가 ‘AZD1222’의 개발‧생산과 올가을 착수될 예정인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국 보건부(HHS)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ASPR) 직속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으로부터 10억 달러 이상을 지원받았다고 21일 공표해 주목되고 있다.
‘AZD1222’의 개발 프로그램에는 총 30,000여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1건의 임상 3상 시험과 1건의 소아 피험자 대상 임상시험이 포함되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社는 이와 함께 ‘AZD1222’의 배분과 공급이 세계 각국에서 공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및 세계보건기구(WHO) 등의 국제기구들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접근성 확대를 위해 각국 정부와 협의 중인 가운데 백신 생산‧공급 확대를 위해 인도 혈액연구소(SII) 및 기타 잠재적 제휴선들과도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옥스퍼드대학의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 정부와도 손을 잡았다. 오는 9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영국에서 공급이 착수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파스칼 소리오트 회장은 “현재의 ‘코로나19’ 판데믹이 지구촌에 엄청난 비극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인류 전체에 심각한 도전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우리가 힘을 합쳐 코로나바이러스를 패퇴시키지 못할 경우 지속적으로 엄청난 고통을 가할 것이고, 전 세계 모든 국가들에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오랜 기간 상흔을 남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리오트 회장은 뒤이어 “우리가 세계적인 규모로 치료대안을 생산하기 위해 옥스퍼드대학과 협력관계를 맺은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백신 개발과 생산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은 미국과 영국 양국 정부에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 이 백신이 신속하고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세를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이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백신과 관련해 옥스퍼드대학과 라이센스 제휴계약을 마무리지은 상태이다.
이전까지 ‘ChAdOx1 nCoV-19’로 불렸고, 현재는 ‘AZD1222’로 명명된 이 백신은 앞서 옥스퍼드대학 제너연구소 및 옥스퍼드 백신그룹이 각국에서 개발‧공급 합의를 도출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아울러 판데믹 대비태세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옥스퍼드대학과 공동연구소의 설립을 지원키로 합의했다.
‘AZD1222’는 약독화 감기 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에 기반을 둔 복제 결핍 침팬지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백신으로 SARS-CoV-2 돌기 단백질의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접종하면 표면 돌기 단백질이 생성되어 면역계로 하여금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공격하도록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된다.
지난달 착수된 ‘AZD1222’의 임상 1상 및 2상 시험은 잉글랜드 남부지역의 몇몇 시험기관에서 1,000명 이상의 18~55세 연령대 건강한 자원자들을 충원해 안전성, 면역원성 및 효능을 평가하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도출될 이 시험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일부 국가에서 막바지 단계의 임상시험이 개시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의 포괄적인 판데믹 대응태세 가운데는 ‘코로나19’의 진행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중화항체를 발굴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 3~5개월 이내에 임상시험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아스트라제네카 측의 목표이다.
이밖에도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신약 또는 기존 의약품들의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해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이 중에는 혈액암 치료제 ‘칼퀜스’(아칼라브루티닙)과 관련한 ‘CALAVI 시험’ 및 ‘ACCORD 시험’과 항당뇨제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를 사용해 착수한 ‘DARE-19 시험’이 눈에 띈다.
01 | IPO 앞두고 신경계 R&D 강화…명인제약, '글... |
02 | 신테카바이오, 메타비아와 AI 기반 약물 재... |
03 | 릴리, 항체공장 매각...제약기업들,미국내 ... |
04 | 셀론텍 ‘카티졸’, 히알루론산 대비 비열등... |
05 | "현대바이오 제프티,팍스로비드·조코바보다 ... |
06 | 씨티바이오, ‘한국 헬스케어 혁신기업 40’ 선정 |
07 | 수젠텍,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 시장 진출 |
08 | 셀트리온 유플라이마,직판 경쟁력 바탕 후발... |
09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올해 미국 플로리다... |
10 | 아이빔테크놀로지,생체현미경 4번째 기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