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지원하는 이노비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이 이르면 오는 6월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국내발생현황과 함께 코로나19 후보 백신 국내임상 연구 참여 현황을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 등과 협력해서 코로나19 DNA 백신의 국내 임상연구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6일부터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이노비오(Inovio) 社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이용해서 국내에서 임상 1상, 2상을 각각 진행할 예정이라는 것.
권준욱 부본부장은 "우선 국내 임상 1상은 총 40명 정도의 규모로, 그리고 향후 임상 2상은 160명 정도의 규모로 시험을 진행할 예정으로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일정으로는 일단 국내에 이 임상을 진행할 해당되는 의료기관과의 최종적인 협의가 남아있다"며 "현재로서는 임상1상 1단계에 약 40개 정도를 대상으로 해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지금의 계획으로는 6월 중에는 국내에서 임상시험이 시작될 것으로 조심스레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국내 임상시험 연구는 국제 민간공동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 (CEPI)에서 690만 달러(약 84억원)를 지원하며, 국립보건연구원과 국제백신연구소는 임상시험에 필수적인 절차인 안전성 및 효능 등을 분석·평가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에 대해 권 부본부장은 "이노비오사에서 이미 DNA 플랫폼을 개발했던 경험을 토대로 해서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성보다는 어쨌든 최선을 다해서 저희도 그 임상시험의 어떤 부분에 참여해서 국내에서 임상시험이 이뤄지는 데 적극 참여·지원하고 협력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DNA백신은 병원체의 일부 단백질(항원)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형태의 DNA에 삽입한 백신으로 인체 접종 후 세포내에서 병원체의 단백질이 생산되어 면역반응이 유도된다.
이는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예방 백신에서도 동일 플랫폼이 사용돼 국내에서 임상 1상을 실시한 바 있는데, 이를 코로나19에도 활용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치료제·백신 범정부실무추진단 발족에 대한 일정을 소개하기도 했다.
권 부본부장은 "내일 민관합동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범정부실무추진단이 발족이 되어서 1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실무추진단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에서 공동으로 단장을 맡아 진행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코로나19의 치료제·백신 그리고 방역물품·기기에 대한 연구개발, 생산, 국가비축, 현장활용 등 전체 주기에 걸친 상황을 분석하고, 무엇보다도 현장의 어떤 애로사항 등을 신속하게 파악해서 바로 바로 해결하고 지원방안이 강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