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대한약사회가 공식적인 정책협의체를 구성, 오는 26일 첫 회의가 진행된다.
그간 진행된 산발적인 정책 논의가 아닌 주요 현안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진행 될수 있다는 점에서 복지부와 약사회의 '약정협의체' 가동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약정협의체는 오는 26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앞으로의 운영방안과 주요 논제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김동근 대한약사회 부회장은 "산적한 약사회 현안 중 어떤 정책이 우선 논의 될지는 정해진 것이 없다. 단, 새로운 이슈가 아닌 그간 약사회가 추진하고 정책적인 개선을 요구했던 부분이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약사회와 복지부가 정책 현안을 놓고 공식적인 '약정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처음인 만큼 준비가 필요했다. 어렵게 만든 협의체이기 때문에 잘 운영돼야 한다"며 "국민을 중심에 놓고 생각할 것이다. 무조건적인 직능이익을 위한 요구가 아니라 국민의 입장에서 직능의 잘못된 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복지부와 약사회 간 특정 현안에 대한 협의가 산발적으로 진행돼 왔으나 의정협의체와 같은 전반적 정책을 논의하는 구조로는 처음이다.
주요 아젠다는 복지부와 약사회이 확정을 하지 않고 있으나, 그간 약사회가 개선을 요규했던 현안들은 전부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
김동근 부회장은 "양측이 논의를 해야 하지만 의료기관과 약국의 담합문제, 대체조제 범위, 전문약사 제도 도입, 면허 신고제 등 그동안 개선이 필요했던 사안들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며 "약정협의체를 통해 복지부와 약사회가 좋은 내용을 공유하며 이해도를 높힐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약사회는 의약품 장기품절 대책, 전문약에 대한 사회적 책임 분담 및 정부역할 강화, 장기처방 조제방식 개선, 불법‧편법약국 근절 등 산적한 현안에 대한 개선을 요구한 바, 약정협의체에서 어떤 우선 논의과제를 선택할지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