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환자가 비정형항정신약물 치료시 부작용으로 투여를 중단해야 할 경우 퀘티아핀(Quetiapine, 상품명:세로켈)으로 치환하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의대 정신과학교실 채정호 교수팀은 최근 열린 대한정신약물학회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약물로부터 퀘티아핀으로의 치환' 논문을 통해 정신분열병에 대한 퀘티아핀의 효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3종의 비정형항정신약물로 정신분열병 치료를 받던 환자중 부작용 및 효과미흡 등으로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환자 53명(남:21명, 여:32명)을 대상으로 퀘티아핀 약물치환을 시도, 8주간 추적했다.
그 결과 증상의 유의한 악화 없이 46명(86.8%)에서 퀘티아핀으로의 완전 치환이 가능했으며 10명(18.9%)은 8주 후에 두 가지 이상의 항정신병약물을 병용 투여했고 7명은(13.2%) 부작용으로, 4명(7.5%)는 효과미흡으로 퀘티아핀 약물치환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퀘티아핀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투여 중 약물치환이 필요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임이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한편 가톨릭의대 정신과학교실 박원명 교수팀은 '급성조증 치료에 있어서 퀘티아핀의 효과와 안전성' 논문에서 급성조증 치료 시 기분안정제와 병합 투여하면 부작용을 크게 경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급성조증 삽화를 보이는 양극성 장애Ⅰ형 조증 17명과 경조증 1명 등 총 18명(남:8명, 여: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데파코트와 리튬, 카바마제핀 등의 기분안정제와 퀘티아핀을 병합해 사용, 그 결과를 지켜봤다.
사용한 퀘티아핀의 평균 시작용량은 68.1±40.0mg, 평균 최고용량은 344.4±185.4mg이었으며 4주째 평균 용량은 338.9±182.0mg, 총 투여된 평균용량은 267.9±105.4mg였다.
이를 1주, 2주, 4주째 조사한 결과, YMRS, BPRS가 투여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했으며(p〈0.01, p〈0.05)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중단 사례가 없어 안전성도 입증됐다는 것.
박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퀘티아핀을 기분안정제와 병합 사용했을 경우 급성기 양극성 1형 장애치료에 효과적이며, 안전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