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체중인데 비만?…허리둘레부터 확인해야
남성 90cm, 여성 85cm 이상이면 당뇨위험 2배 이상 높아
조수영 기자 boetty@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3-10-11 14:37   수정 2013.10.11 17:40

제 4회 비만예방의 날을 맞아 대한비만학회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허리둘레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에 미치는 위험’에 대한 분석이 나왔다.

복부비만인 경우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2배 가량 높으며 특히 정상체중이나 복부비만인 이른바 올챙이형 비만의 경우 당뇨병 발생 위험이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허리둘레 비만은 남성은 40대부터 여성은 폐경전후인 5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해 중년기 이후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체중뿐 아니라 허리둘레 관리에도 각별한 관심과 관리가 요구된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제4회 비만예방의 날을 맞이해 복부비만의 위험성과 비만을 관리하는 새로운 척도로서 허리둘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허리둘레가 건강둘레”라는 주제로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비만예방의 날 기념식 및 전문가 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전문가포럼에서 발표할 자료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가지고 대한비만학회가 분석한 결과 복부비만인 경우 당뇨 등 만성질환 유병율이 최대 2.7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95,519명을 대상으로 체중(BMI 지수)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비만유형을 나눠 4그룹으로 구분하여 만성질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체중과 허리둘레가 모두 비만인 그룹은 정상인보다 당뇨(2.7배), 고혈압(2.2배), 고지혈증(고중성지방혈증 2.0배, 고콜레스테롤혈증 1.6배,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1.6배)에 걸릴 확률이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체중은 정상이나 허리둘레가 비만인 이른바 올챙이형 비만 그룹(그룹3)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의 발병위험이 2.1배에 이르고 (체중만 비만이고 허리둘레 정상인 경우(그룹2)은 1.6배),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발생 위험도 정상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해 성별 연령별 비만에 의한 유병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특히 정상체중이면서 복부비만인 이른바 올챙이형 비만의 경우 남성은 40대부터 급증하며, 여성은 폐경기를 전후한 50-60대에서 뚜렷하게 증가하다가 70세이후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돼 이 연령대의 허리둘레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이 자료를 분석한 동국대학교 오상우교수는 “올챙이형 비만은 평소 운동이 부족하거나 불균형 식사를 하는 경우 및 무분별한 다이어트의 경우 유병률이 높다. 효율적인 비만관리를 위해 체중과 허리둘레 감소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신체활동, 건강한 식생활과 아울러 절주,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한비만학회에서 정한 한국인의 허리둘레 비만 기준은 남성 90㎝(36인치) 여성 85㎝(34인치) 이상으로 다만, 정확한 허리둘레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하의 사이즈와는 달리 배꼽 윗부분을 측정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