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광우병으로 불리는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을 일으키는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과 유전자 분석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돼 이 병을 비롯해 성인형 당뇨병, 비만 등 질병 치료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게놈 연구 국제컨소시엄 인간게놈프로젝트(HGP)의 영국 연구기관인 웰컴트러스트 생거센터는 23쌍의 인간 염색체 중 22번과 21번 염색체에 이어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과 유전자 분석을 끝냈다고 오늘(12월 20일) 발행된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20번 염색체의 전체 DNA 가운데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활성영역의 99.5%에 대해 99.99% 이상의 정확도로 염기서열을 결정했다.
20번 염색체는 크기가 약 6,000만 킬로베이스(kb:유전자크기 단위)로 23쌍의 염색체로 구성된 인간 게놈 전체에서 2%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CJD와 자가면역질환, 성인형 당뇨병, 비만, 백내장, 습진 등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담당한 테일러 박사는 "앞으로 수년 간의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질병 유발 유전자를 찾아내면 발병 과정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되고 이를 토대로 치료법, 치료약 개발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