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보트 래보라토리스社가 19일 3/4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면서 현재의 회사를 제약기업과 메디컬 제품(diversified medical products) 업체로 분리하는 내용의 플랜을 함께 공개했다.
이와 관련, 애널리스트들은 애보트가 현재의 통합된 체제보다 별개의 회사로 분리되었을 때 더욱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동안 메디컬 부문이 제약 부문의 일원으로 가려져 저평가되어 왔기 때문이라는 것.
회사가 분리되면 메디컬 제품 업체는 제네릭과 의료기기, 진단의학, 기능식품 사업부문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들 사업부문들은 현재 한해 총 220억 달러의 매출실적을 올리고 있다.
회사를 분리키로 함에 따라 메디컬 제품 부문 업체는 ‘애보트’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게 되며, 마일스 D. 화이트 회장이 경영을 총괄하게 된다.
현재 연간 180억 달러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고 있는 처방약과 생물학적 제제 부문으로 구성될 제약부문 업체의 경우 리차드 곤잘레스 글로벌 제약담당 부회장이 최고경영자 겸 이사회 의장직까지 수행케 된다. 회사명칭은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지난 30여년 동안 애보트에 몸담아 왔던 베테랑 경영자로 손꼽히는 곤잘레스 부회장은 최고 운영책임자(COO)를 역임한 바도 있다.
마일스 D. 화이트 회장은 “오늘 공개한 소식이야말로 애보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벤트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사의 123년 역사상 또 하나의 획기적인 변화가 뒤따르게 될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강력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보다 확고하게 구축하고, 주주들에게 보다 많은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회사가 분리되면 주주들은 신설될 제약기업의 공개株를 세금부담 없이 지급받게 된다.
애보트측은 주식 교환비율의 경우 차후 결정될 예정이며, 주주들에게 돌아갈 배당금 액수는 회사를 분리하는 시점에서 공평하게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애보트측은 매출이 13.2% 증가한 98억1,700만 달러에 이른 가운데 순이익의 경우 66% 감소한 3억3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된 3/4분기 경영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이 준수한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이머징 마켓에서 21% 뛰어오른 26억 달러의 실적을 올린 것에 힘입은 바 컸던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순이익이 상당수준 감소한 것은 강령련제 ‘데파코트’(발프로산 나트륨)의 마케팅과 관련한 소송에 소요될 비용으로 약 15억 달러의 자금을 비축해 두었기 때문이라고 애보트측은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기능식품 사업부가 12.6% 신장된 15억3,700만 달러, 실험 진단의학 사업부가 11.5% 향상된 8억3,900만 달러, 당뇨관리 사업부가 11.3% 오른 3억5,4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스텐트를 취급하는 혈관 사업부문은 4.7% 성장한 8억2,8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제약사업부 가운데서는 기존약 부문(Established Pharmaceuticals)이 22.6% 증가한 13억8,900만 달러, 신약 부문(Proprietary Pharmaceuticals)이 13.5% 확대된 42억9,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제품별로 살펴보면 류머티스 관절염‧크론병 치료제 ‘휴미라’(아달리뮤맙)가 25.7% 확대된 21억1,100만 달러의 매출실적을 과시해 주목됐다. 미국시장 매출이 18.1% 늘어난 데다 글로벌 마켓에서도 32.0%의 괄목할만한 실적상승을 실현한 덕분.
중성지방 저하제 ‘트라이코’(페노피브레이트) 및 ‘트라이리픽스’(서방형 페노피브레이트)는 총 4억1,900만 달러로 2.4% 소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저하제 ‘니아스판’(서방형 니아신)은 8.9% 오른 2억4,500만 달러의 준수한 매출을 올렸다.
전립선암 치료제 ‘루프론’(루프로라이드) 또한 12.7% 성장한 2억1,300만 달러로 눈에 띄었으며,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제 ‘씬지로이드’(레보타이록신)도 12.0% 신장된 1억6,000만 달러로 버금가는 실적을 내보였다.
이에 비해 AIDS 치료제 ‘칼레트라’(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는 9.4% 줄어든 2억9,700만 달러에 머물렀다.
애보트측은 올해의 주당순이익 예상치를 한 주당 4.64~4.66달러 선으로 제시했다.
01 | 제8차 약제급여평가위…녹십자·레코르다티 신... |
02 | 쎌바이오텍, R&D 투자로 단기 실적 주춤…장... |
03 | 면허 위조 한약사 사건…“개인 일탈 아닌 제... |
04 | 중앙대-제약바이오협회,공동 연구·인재 교류... |
05 | 반복되는 유찰·독식 우려…영남대병원 의약품... |
06 | 온코닉테라퓨틱스,‘자큐보’ 물질특허 2040년... |
07 | 샤페론, 아토피·알츠하이머 등 파이프라인 ... |
08 | 바이오스타, 자폐증 재생의료 치료 일본 후... |
09 | 로킷헬스케어, ‘당뇨발 맞춤형 피부 재생’ ... |
10 | 셀트리온, ‘앱토즈마’ IV 제형 미국서 CR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