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해외면허취득과 이민이 최근 젊은 약사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인식되며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해외 약사면허취득을 통해 미국이나 캐나다 등으로 진출한 약사들은 전년대비 30%가까이 증가한 약 200여 명 정도로 파악되고 있으며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그 숫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약사들의 해외진출이 개국가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신규 배출된 약사들이 제약회사 및 약국 취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기존 약사들이 약국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등 국내 약업계가 약사들에게 그리 좋은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미국, 캐나다 등 새로운 환경에 대한 동경과 넓은 시장에 대한 도전정신, 그리고 자녀 양육·교육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 등으로 인해 약사들이 해외약사면허취득을 통한 약사이민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약사들이 1년 6개월 과정의 코스를 착실히 준비해 미국이나 캐나다로 진출할 경우, 국내보다 월등히 높은 보수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 등이 해외약사면허 취득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해외 약사 면허취득 과정이 까다롭고 영어시험의 강화나 열악한 인턴 조건 등으로 인해 약사들이 중도 포기하는 사례도 많아 해외진출을 고려하는 약사들의 신중한 선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약사해외면허취득을 지원하는 업체 등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약대 팜디 과정이나 취업 인턴과정을 통해 안정적인 약사 해외면허 취득과정을 열어놓고 있다.
이처럼 해외약사면허 취득과 약사이민은 약사들의 노력여하에 따라 성공률이 높고 더욱 좋은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다는 매리트를 가지고 있어 향후 전망이 매우 밝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약사이민 현황>
약사 해외면허취득과 이민은 매년 점진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가 최근 1~2년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약사 이민이 주로 이뤄지고 있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등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호주나 뉴질랜드의 경우 보수가 적고 실제적인 매리트가 없어, 주로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약사이민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60년대 후반부터 해외약사 면허취득을 통해 해외로 진출한 약사들은 대략 1,000여명 정도로 파악되고 있는데 이중 미국에 진출한 약사들은 약 800여명, 캐나다로 진출한 약사들은 약 200여명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30%증가한 약 200여명의 약사들이 새롭게 해외로 진출, 약사들의 이민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사이민은 주로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캐나다는 한국에서 약사면허만 있으면 캐나다 약사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고 1차 시험에 패스하면 인터뷰없이 이민비자를 받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고용주를 만나야 약사 면허취득을 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캐나다에 비해 보수가 높은 것이 장점이다.
따라서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약사들 중에는 캐나다로 진출한 후 미국약사면허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미국 약사의 경우 보수는 초봉 8만불 정도이며 캐나다는 5만달러(캐나다 달러)정도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국 근무시간은 별도의 법적인 규제 시간이 없으나 우리 나라의 평균 약 12 시간에 비해 8∼10시간에 토·일요일은 휴무를 하는 약국에서 24시간 운영되는 약국까지 일률적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사면허취득>
일반적으로 약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공시험과 영어시험을 패스해야 가능하다.
전공시험으로는 약사로서의 자질을 판단하는 시험으로 미국 또는 캐나다의 약대를 졸업하지 않은 사람으로서 약사면허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FPGEE (Foreign Pharmacist Graduate Equivalency Examination)을 치러야 한다.
이와 함께 2차 시험으로 미국에서는 NABPLEX (National Association of Board Licensure Examination), 캐나다는 qualifying examination 이 있으며 호주의 경우 stage I 및 stage II examination, 뉴질랜드의 경우는 paper I 및 paper II examination 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또 영어 시험으로 미국의 경우 토플 550∼580점 및 TSE(Test of Spoken English, 말하기시험)가 60점 만점에 5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영어시험이 통과되지 않아 면허취득을 포기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처럼 영어시험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를 피하면서 해외약사면허를 취득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첫 번째는 미국약대에 편입하는 방법으로 3년전부터 시작, 3번째 졸업자를 맞이하고 있다.
다음은 팜디과정을 통해 약사면허를 취득하는 방법이며 마지막으로 취업인턴을 통한 방법인데 이과정은 1차 시험을 합격하고 토플 550점 이상을 취득한 자중에서 미국 체인스토어(CVS, 크로커, 세이프웰 등)에 취업하는 경우이다.
미국은 2000년 11월부터 원하는 날짜를 지정해 시험을 치를 수 있으며 캐나다는 매년 7월 하순과 2월 초순에 시험을 치루고 있다.
원서마감은 미국의 경우 별도 마감일이 없으며 캐나다는 시험일로부터 3개월전에 신청해야 한다.
구비서류는 미국의 경우 영문면허증명 1통, 영문성적 및 졸업 증명 각 1통, 호적등본, 사진, 응시료(약 700불)이며 캐나다의 경우 영문면허증명 1통, 영문성적 및 졸업증명 각 1통, 사진, 응시료(캐나다 달러 890불) 등이다.
<해외약사 면허 전문기관 'OPI'>
약사들의 해외면허 취득과 이민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약사면허와 캐나다 약사면허 전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해외약사 면허 전문기관 OPI(OVERSEAS PHAMACIST INSTITUTE)가 있다.
OPI(대표·조석준 약학박사)는 해외약사면허 취득을 보다 체계적이고 수월하게 도와주기 위해 지난 87년 설립, 현재까지 약사들의 가이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미국 약사면허 제도가 91년부터 영어시험이 추가되면서 영어에 부담을 느끼는 약사들을 대상으로 미국 약대 편입과정과 팜디과정, 취업인턴 프로그램 등을 제시하며 해외약사면허취득에 있어 더욱 수월한 방향들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영어로 인해 해외약사면허 취득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미국 한의대와 제휴, 2년과정을 수료하고 한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한의사면허취득과정'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
현재 OPI는 팜디(Pharm. D.)과정, 미국약사면허코스, 캐나다 약사면허 코스 등 3가지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팜디과정 (Pharm. D.)-먼저 팜디과정을 원하는 약사들은 OPI교육을 통해 1차 시험준비와 Board 필수 과목인 Applied Therapeutics 교육을 필하고 미국 또는 캐나다 1차 약사시험 Pass, 토플 550점 이상 확보한 후 봄학기·가을학기 두번에 걸쳐 입학할 수 있다.
이후 인터뷰에 합격한 후 학교에서 실시하는 영어 Test 합격(불학격 시 ESL코스 후 입학), General Course로 편입한다.
그리고 2년 후 Pharm. D 및 미국 약사면허 취득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팜디과정 입학에서 졸업까지 소요되는 비용은 2년간 수업료 약 4만불, 생활비 월 400~600불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팜디과정의 경우 영어시험 면제로 미국약사면허 취득이 쉽고 인턴시간 600시간이 면제되며 높은 경쟁력과 지위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미국약사면허-미국 약사면허를 취득 하기 위해서는 OPI 6개월 교육에 참여한 후 1차 약사시험(EE시험)합격, 토플 550점·TSE 45~50점 취득, 인턴 1,500시간(약 9개월), 2차 약사면허시험 합격 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취업 인턴 프로그램-대상은 1차 시험 Pass후 토플 550점 이상인 약사들이며 취업비자를 받고 인턴을 시작한 후 인턴 기간 중 TSE 50을 획득, 인턴완료, 보드 시험통과 후 미국 약사면허를 취득하는 과정이다.
이과정은 인턴기간 중 취업비자를 받고서 일을 하므로 미국 드럭스토어에 근무하며 약 3만불~3만5,000불의 연봉을 받을 수 있다.
*캐나다 약사면허-캐나다 약사면허 취득과정은 OPI교육 6개월 후 1차 약사시험 합격, 캐나다 영주권 취득, 2차 약사시험 합격, 토플 580점 TSE 50점, TWE 4.5~5.0 이상 취득 또는 IELTS 평균 7점 취득, Studentship 32주, 인턴쉽 16주, 법률시험 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문의:02-742-77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