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절감 압력과 유능한 R&D 인력확보, 이머징 마켓에서의 성장기회 포착 등을 위해 북미와 서구의 제약기업들이 연구‧임상 및 제조 부문의 인프라를 인도와 중국으로 앞다퉈 이전하고 있는 것이 최근 글로벌 제약업계의 현실이다.
이와 관련, 첨단 신약개발과 관련해 인도와 중국에 대한 메이저 제약기업들의 의존도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한 예로 지난 2006년 세계 지적재산권기구(WIPO)가 집계한 전 세계 의약품 특허 신청현황에 따르면 전체의 5.5%가 인도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케이스로 집계되었을 뿐 아니라 중국 연구자까지 합산할 경우 이 수치는 8.4%로 더욱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는 것.
특히 8.4%라면 지난 1995년 당시에 비해 4배나 증가한 수치로 파악되었다는 설명이다.
미국 미주리州에 소재한 기업‧교육 진흥기관으로 알려진 유잉 매리언 카우프먼 재단(EMKF)이 이달들어 공개한 ‘혁신의 세계화’를 통해 이 같이 지적했다. 이 보고서의 부제는 ‘인도와 중국이 글로벌 제약시장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인가?’이다.
보고서 작성을 총괄했던 하버드대학 로스쿨의 비벡 와드화 특별연구원(fellow)는 “이처럼 인도와 중국의 연구자들이 고도의 첨단 신약개발 연구에 깊숙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현실은 불과 5년여 전까지만 하더라도 예상치 못했던 수준의 것이었다”고 평가했다.
유잉 매리언 카우프먼 재단의 로버트 라이튼 조사‧정책담당 부회장은 “신약개발국가가 인도와 중국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는 현실은 질병퇴치에 좀 더 효과적일 뿐 아니라 전체적인 비용절감으로 귀결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한 둘이 아니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이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된 신약이 미국의 제약기업들에 의해 생산되어 나올 경우 더욱 큰 부수적 성과가 뒤따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이튼 부회장의 이 같은 언급은 설령 인도와 중국 연구자들의 주도로 R&D가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임상 2상 시험 이후의 단계에서는 아직까지 해당국가 제약기업들의 독자적인 역량만으로 비용과 법적절차를 밟는데 역부족이 눈에 띄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나온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즉, ‘화룡점정’을 위해서는 메이저 다국적제약기업들과 파트너십의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보고서는 랜박시 래보라토리스社(Ranbaxy)를 비롯한 인도의 제약기업들이 FDA의 기준에 부응하는 제네릭 발매역량과 경험을 확보하고 있음을 들어 신약개발 초기단계에서 좀 더 전략적인 역할을 수행하기에 이르렀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인도 제약기업들이 신약개발에 따른 금전적 위험성을 분담하되, 개발성공에 따른 보상 또한 분할해 확보하는 경향이 갈수록 눈에 띄고 있다고 언급했다.
01 | “식약처 심사원도 사람입니다…정부 보험 지... |
02 |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 ... |
03 | 에이치이엠파마, 세계적 항노화 연구 성과 ... |
04 | 지노믹트리 ‘얼리텍 BCD’, 미국비뇨기과학회... |
05 | ‘K-뷰티엑스포 코리아’ 성료…해외 바이어 1... |
06 | 앱클론, ‘HER2 어피바디 스위처블 CAR-T’ 미... |
07 | 코스맥스, CJ제일제당과 PHA 화장품 용기 개... |
08 | 광동제약, 미국 '오큐젠' 망막색소변성증 ... |
09 | 셀트리온제약, 벡톤디킨슨∙BD코리아와 3자 ... |
10 | 차백신연구소 독자개발 면역증강제 '리포-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