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약사가 만든 '불용캐니스터 재사용 프로그램' 화제
일원역 1번출구 이상욱 약사, 식약처 공공데이터 활용해 개발
김형지 강남구약사회장 "불용캐니스터 비롯 현안 대응 약속"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4-28 09:58   수정 2025.04.28 10:30
김형지 강남구약사회장(왼쪽)과 이상욱 약사. ©강남구약사회

서울 강남구의 약사가 약국 내 불용캐니스터의 동일 제형을 찾아 재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공유해 화제다.

프로그램 개발의 주인공은 이상욱 약사(일원역1번출구약국)로, 최근 강남구 약사회가 자동조제기 불용 캐니스터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중에 있다는 얘기를 듣고 나서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

앞서 강남구약사회(회장 김형지)는 지난 19일 열린 초도이사회에서 약국에 쌓여가는 불용캐니스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상욱 약사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공공데이터에서 제공받은 약의 크기 등을 이용해, 필요로 하는 약의 캐니스터를 본인의 약국에서 갖고 있는 기존 캐니스터와의 호환성 여부를 알려준다.

즉 새로운 약이나 약이 바뀌더라도 매번 새로 주문할 필요 없이 기존 캐니스터를 쉽게 재활용 할 수 있다고 이 약사는 설명했다.

강남구약사회 김형지 회장은 "독과점에 가까운 처방전 바코드와 자동조제기 업체들은 서비스를 받는 고객인 ‘약국’이 받는 여러 가지 불이익에 대해 그동안 개선해 나가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 약사의 프로그램 개발은 더 이상 약국들이 이러한 ‘슈퍼 을’인 업체들에 대해 참고만 있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남구약사회는 역대급 불경기를 맞아 회원들에게 실제적으로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여러 가지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김 회장은 불용캐니스터는 그 시작일 뿐이라며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약속했다.

일원역1번출구약국의 이상욱 약사가 식약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개발한 약국 내 불용캐니스터의 동일 제형을 찾아 재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연하고 있다. ©강남구약사회
일원역1번출구약국의 이상욱 약사가 식약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개발한 약국 내 불용캐니스터의 동일 제형을 찾아 재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상욱 약사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