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전국 임원 결의대회’에서 최광훈 대한약사회장(왼쪽)과 박정래 충청남도약사회장이 피켓을 들어보이고 있다.
"우리 전국 약사회 임원들은 약사법에 정의된 업무 범위를 준수하지 않는 한약사의 행태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 한약사 문제와 관련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는 정부에게 그 책임이 있음을 분명히 한다."
대한약사회 회원들이 1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전국 임원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에 한약사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긴급 소집된 이날 결의대회엔 대한약사회 회장단과 상임이사 정책기획단, 시도지부 지부장과 부지부장, 상임이사, 분회장 등 300여 명이 함께했다.
대한약사회 전국 임원 일동은 결의문을 채택하고, 한약사 문제에 대해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정부를 규탄했다.
최광훈 대한약사회장.
정부의 무관심과 방임이 지속되는 사이 한약사의 불법행위가 날로 심해지고 있고, 전문지식이 없는 무자격 한약사의 의약품 취급으로 국민들은 의약품 오남용과 약화사고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약사회 일동은 지적했다.
이어 △한약사들은 불법적인 면허범위 외의 의약품 조제-판매를 즉각 중단하고, 약사법에 정해진 업무 범위를 준수하라 △정부는 한약사들의 불법행위를 더 이상 방관하지 말고, 한약사들의 불법행위를 적극 수사해 강력하게 처벌하라 △국회는 입법 미비 상황을 해소하고 한약사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약사법 개정 작업에 즉각 돌입하라 △직역이 다른 한약사를 약국에 고용해서도 안 될 것이며,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에 취업해서도 안 될 것이다 등 4가지 요구사항을 밝혔다.
약사회 임원 일동은 "보건의료 시스템의 올바른 작동을 통해 국민 건강을 향상하고 보건의료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해야 할 정부가 어찌 한약사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한없이 관대하고 무기력한가"라며 "법이 미비하면 바로 잡고, 한약제제 구분을 해 보건의료 체계를 바로 세우는 게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보건의료 정상화를 위한 노력과 합당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대한약사회 모든 회원은 필사즉생의 각오로 투쟁에 임할 것을 천명한다고 약사회 일동은 거듭 강조했다.
이날 결의대회에선 한약사 문제의 배경과 그간의 약사회 차원 대응 현황이 공유됐고, 이동훈 변호사가 법률전문가 입장에서 본 한약사 문제 쟁점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