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노디스크, 비만ㆍ당뇨 RNA 치료제 개발 제휴
자가복제 RNA 기술 보유 美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와 합의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9 12:15   

미국 캘리포니아州 샌디에이고에 소재한 RNA 치료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社(Replicate Bioscience)가 노보 노디스크社와 다개년 연구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표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社는 차세대 자가복제 RNA(srRNA) 기술을 적용한 감염성 질환, 면역계 질환 등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해 온 곳이다.

양사는 노보 노디스크 측의 심도깊은 약물치료 관련 지식과 신약개발 전문성을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이 보유한 새로운 srRNA 플랫폼과 결합시켜 비만, 2형 당뇨병 및 기타 심대사계 질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들의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합의를 도출함에 따라 노보 노디스크와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양사는 각종 심대사계 질환을 겨냥한 일부 표적들과 관련한 협력을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보 노디스크는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이 보유한 srRNA 플랫폼의 글로벌 독점적 전권을 확보한 가운데 선도 프로그램들의 개발‧발매를 진행키로 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의 경우 연구비를 지원받는 한편으로 노보 노디스크 측으로부터 최대 5억5,000만 달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자격을 보장받았다.

이 금액 가운데는 현금으로 지급될 계약성사 선불금과 추후 잠재적 성과금이 포함되어 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은 이와 함께 양사간 다개년 제휴에 힘입어 제품 발매가 이루어졌을 때 매출액 단계별 로열티를 수수할 수 있는 자격까지 확보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社의 레이첼 레스터 최고 사업책임자는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가 제약‧생명공학업계의 리더기업들과 함께 환자들의 세포에서 치료용 단백질이 자연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되는 srRNA를 개발하는 데 사세를 집중해 왔다”고 말했다.

이번에 새로운 파트너 관계를 구축키로 합의함에 따라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가 독자보유한 srRNA 운반체 라이브러리의 강점이 노보 노디스크의 치료‧임상 관련 통찰력과 결합되면서 강력하고 새로운 기회의 창출로 이어질 수 있게 될 것이라는 말로 레스터 최고 사업책임자는 큰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노보 노디스크 측 팀원들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게 된 것에 대단히 고무되어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는 폭넓은 독자보유 srRNA 기술 관련 도구(toolbox)를 보유하고 있다.

덕분에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는 단백질 발현 프로필의 개별환자별 맞춤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의 플랫폼은 다른 RNA 양식들과 비교했을 때 생체 내부에서 높은 단백질 발현과 함께 내구성과 조정 가능성 등을 입증해 왔다.

노보 노디스크社의 카리나 토른 핵산 연구 담당부회장은 “노보 노디스크가 각종 심대사계 질환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구축하기 위한 대안을 지속적으로 탐색해 왔다”면서 “우리가 보유한 핵심적인 역량들을 선택된 양식 플랫폼들과 결합시켜 혁신의 기준을 끌어올리고 중증 만성질환 환자들에게 유익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과 파트너 관계를 구축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새롭고 임팩트 있는 치료제들의 개발을 진행할 새로운 길을 열어주게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社의 공동설립자 가운데 한사람인 나다니엘 왕 대표는 “기존 mRNA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가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를 설립했던 것”이라면서 “노보 노디스크 측과 제휴에 힘입어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가 축적한 과학적인 역량을 전환적인(transformative) 잠재력을 강화하는 한편으로 각종 예방용 백신과 srRNA 기반 치료용 단백질의 혁신적인 파이프라인 축적을 가속화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레플리케이트 바이오사이언스 측이 보유하고 있는 최첨단 치료용 단백질 자산들 가운데는 인터루킨-1 수용체 작용제, 그리고 염증복합체(inflammasome: 염증반응을 매개하고 활성화하는 단백질 복합체) 활성화에서 사이토킨을 이중차단하는 인터루킨-18 결합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염증복합체 활성화는 만성 염증성 대장질환, 통풍 및 재발성 심낭염(心囊炎) 등의 염증성 질환들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