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즈디프라’(레스메티롬) EU 첫 MASH 치료제 등극
유럽 내 간 이식술 증가 최대원인 불구 치료제 부재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1 06:00   수정 2025.08.21 06:01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MASH)은 유럽 각국에서 간 이식수술이 증가하는 최대의 원인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른 가운데서도 아직까지 허가를 취득한 치료제가 부재한 형편이었다.

이와 관련, 미국 펜실베이니아州 필라델피아 인근 소도시 콘쇼호켄에 소재한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社(Madrigal Pharmaceuticals)가 자사의 ‘레즈디프라’(Rezdiffra: 레스메티롬)가 EU 집행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취득했다고 19일 공표해 주목할 만해 보인다.

‘레즈디프라’가 중등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간 섬유화를 동반한 성인 비 경변성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 환자용 치료제로 EU 집행위의 허가관문을 통과했기 때문.

유럽에서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가 허가를 취득한 것은 ‘레즈디프라’가 최초이자 유일하다.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社의 빌 시볼드 대표는 “EU 집행위가 ‘레즈디프라’를 조건부 승인한 것이 유럽 각국에서 중증 진행성 간질환의 일종인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이루어진 역사적이고 획기적인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게다가 ‘레즈디프라’는 생체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데다 중등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진행성 섬유증을 동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라는 장점이 눈에 띈다고 덧붙였다.

중등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진행성 섬유증을 동반한 환자들의 경우 간과 관련한 원인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성이 10~17배까지 높게 나타나고 있는 데다 간경변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바로 1~2단계 전까지 진행된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은 세계 각국에서 간 관련 사망으로 이어지는 최대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데다 이로 인한 의료 시스템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 측은 유럽 각국에서만 총 37만여명의 환자들이 중등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간 섬유화를 동반한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을 진단받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1일 1회 경구복용하고, 간을 표적으로 하는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베타(THR-β) 작용제의 일종인 ‘레즈디프라’는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의 핵심적인 기저원인을 표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도록 설계된 치료제이다.

EU 집행위는 본임상 3상 ‘MAESTRO-NASH 시험’ 등에서 도출된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유익성-위험성 프로필을 근거로 ‘레즈디프라’의 조건부 승인을 결정한 것이다.

섬유화가 감소한 데다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의 해소(resolution)와 관련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되었던 것.

또한 ‘레즈디프라’는 ‘MAESTRO-NASH 시험’에서 간 경직(liver stiffness), 지방간, 간 효소 및 죽상경화성 지질 등을 감소시킨 데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을 개선해 준 것으로 입증됐다.

1년차에 평가했을 때 ‘레즈디프라’ 100mg을 복용해 왓던 환자들의 91%가 진동 제어 과도 탄성 측정법(VCTE)을 적용해 평가한 결과 간 경직도의 개선 또는 안정화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었을 정도라는 것이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 측의 전언이다.

VCTE는 임상현장에서 치료반응을 모니터링할 때 빈도높게 사용되는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 베를린 카리테 대학병원의 프랑크 타케 박사(간장병‧위장병)는 “이번에 ‘레즈디프라’가 조건부 승인을 취득한 것이 유럽 각국의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 커뮤니티를 위해 전환적인(transformational) 순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나 자신부터 중등도에서 고도에 이르는 진행성 섬유화를 동반한 환자들을 치료할 때 이처럼 새롭고 중요한 치료대안을 적극 사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한 ‘레즈디프라’는 유럽 대사계 기능부전 관련 지방간염 치료지침에 포함되어 있고, 임상 3상 시험에 다수의 환자들이 피험자로 참여했던 만큼 이미 유럽 각국에서 건실한 치험례가 축적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앞서 유럽 의약품감독국(EMA)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지난 6월 ‘레즈디프라’를 승인토록 권고하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 측은 오는 4/4분기 중 독일을 시작으로 유럽 각국에서 ‘레즈디프라’가 발매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