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존은 두 차례에 걸쳐 발행한 전환사채(2015년10월 150억원, 2016년5월 119억원)를 각각 인수한 플루터스트리니티 코스메틱 제1호 사모투자전문회사(이하 ‘플루터스’)와 포스코플루터스 신기술투자조합 1호(이하 ‘포스코’)가 자신들이 보유한 전환사채와 참존 전환상환우선주(5만8320주), 창업자 김광석 회장의 담보주식(70만주)에 대한 권리 일체를 미국 주택금융전문회사 암웨스트펀딩과 대부업체인 메이슨에프앤아이대부에게 넘기는 자산양수도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플루터스와 포스코가 김 회장의 담보주식 70만주(93.31%)를 포함한 참존 주식 100%를 매각한다는 것으로, 그 내용이 지난달 말 서울중앙지방법원(민사51부)의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 인용 결정을 위반한 것이어서 논란이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김 회장 측은 11월4일과 11월7일에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심리를 담당하는 서울지방법원(민사50부)에 제출한 참고서면에서 “대부업자인 암웨스트와 메이슨이 화장품 제조∙판매기업인 참존에 투자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데다 메이슨이 이번 계약 체결에 따른 대금을 부담할 여력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플루터스와 포스코가 암웨스트와 메이슨으로부터 단기간 자금을 빌려 마치 자산양수도 계약금과 중도금을 지급한 것과 같은 외관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대부업자인 암웨스트와 메이슨이 화장품 제조∙판매회사인 참존의 주식 전부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투자하려는 이유에 대해 타당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존에 따르면 실제로 메이슨은 지난달 4일 재정 악화라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금융 대부 관련 업무를 중단하고, 채권추심 업무를 하는 무기계약직을 정리해고 하는 등 구조조정을 예고한 바 있다. 구조조정을 예고한지 불과 며칠 지나지 않은 회사가 플루터스 및 포스코와 수백억 원대의 자산양수도 계약을 맺은 것.
김 회장의 법률 대리인 법무법인 세종은 “ 참존의 사모펀드 플루터스와 포스코가 암웨스트 및 메이슨과 맺은 자산양수도 계약이 일반적인 상식에서 벗어나는 내용으로 구성돼 그 진위 여부를 가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추가 참고서면을 제출하게 됐다”며 “참존이 신속히 사모펀드 측에 사채를 상환하고 회사경영을 정상화할 수 있도록 재판부에서 현명한 판단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플루터스는 지난 9월6일 참존으로부터 인수한 전환사채에 대해 사전 합의 없이 9월11일까지 단 3영업일 내 갚으라며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했고, 김 회장이 이를 갚지 못하자 9월20일 담보로 제공한 김 회장의 참존 주식 70만주(92.31%)를 취득해 100% 주주가 됐다고 주장하며 이를 근거로 9월23일 주주총회에서 김 회장을 대표이사에서 해임시키고 현 경영진(이영인, 지한준, 안기경)을 대표이사와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서울지방법원은 지난 11월1일 플루터스 측에 대해 김광석 회장의 참존 주식 70만주에 대한 양도 및 질권설정 등 일체의 처분행위를 금지하는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