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식 대기자 응급도 평가(MELD) 40점으로 ‘최고 응급’ 단계에 속해 의식까지 없었던 환자가 간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은 후 지난 18일 퇴원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이재근 교수(이식외과)와 간센터 이혜원 교수(소화기내과)는 간부전은 물론, 신장 기능 저하, 뇌부종, 호흡 부전이 동반됐던 환자가 에크모(ECMO)를 활용한 간이식 수술 덕분에 3개월 만에 휠체어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됐다고 21일 밝혔다.
에크모(ECMO)라고 불리는 체외막산소화요법은 환자의 혈액을 몸 밖으로 빼내, 인공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넣은 혈액을 다시 투입해 심장의 역할을 인공적으로 대신한다.
해당 환자는 간 이식 수술 전날 의식이 희미해지고 신장 기능까지 나빠진 상황에서 응급으로 투석을 시행했다. 또한 뇌부종과 폐부종 등 지나치게 많은 체액이 쌓여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의료진은 상황이 더욱 나빠지는 것을 막고자 환자에게 기도삽관을 시행하고, 산소 100%로 인공호흡기를 세팅했으나, 환자의 산소포화도는 80% 정도로만 유지됐다. 의료진은 긴급 논의 끝에 ECMO(체외막산소화요법)를 이복례 환자에게 달고, 2월 3일 밤 11시 30분에 시작해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7시간 30분에 걸쳐, 수술을 진행한 것이다.
이 수술의 당사자인 이복례 씨(여, 57세)는 유전적으로 B형 간염이 있었고, 2017년 간경화 초기 판정을 받았다. 올해 1월 중순 배 속이 더부룩하게 부풀어 오르고, 황달이 심해져 여수의 한 병원을 찾았다. 그러나 상태가 호전되지 않아 2월 1일 세브란스병원 응급진료센터를 급히 찾아 긴급 처치를 받았다.
다음 날 간센터 이혜원 교수가 이복례 환자의 간이식 대기자 응급도 평가(MELD)를 하니, 무려 40점으로 최고 응급상황이었다. 이복례 환자는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에 등록하고 자녀가 증여할 것에 대비해 생체 간이식 검사도 진행했다.
다행히,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으로부터 뇌사자가 생겨 간이식이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아 에크모를 달고 수술이 진행된 것이다.
수술 후 5일이 지난 시점부터 이복례씨는 에크모 없이 지낼 수 있었고, 일주일이 지난 2월 10일에는 인공호흡기와 지속적 투석기가 제거됐다. 2주 후에는 일반 병실로 이동됐다. 수술 3주 후부터 침상 옆에서 재활을 시작했다. 수술 2달 후부터 침대 밖에서 휠체어 타는 연습, 보조기를 잡고 서는 운동 등이 가능했다.
2월 초부터 어머니를 계속 간호한 딸 딸 문혜영 씨(25세)는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올라와 119의 도움을 받아 여러 큰 병원을 수소문했으나, 어머니를 받아주겠다고 한 곳은 세브란스병원밖에 없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수술을 이끈 이식외과 이재근 교수는 “보통 말기 간부전이 심하면 하루 이틀도 못 견디고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장뿐만 아니라 폐까지 손상되면 환자분들은 이식을 받아보지도 못하고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복례 환자분은 적절한 수술 전 관리, 환자와 보호자의 살고자 하는 강한 의지, 의료진에 대한 믿음 그리고 많은 의료진의 협력을 통해 기적적으로 살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