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 한 쪽 생겼다면 다른 쪽도 생길 위험 높다
환자 21%가 5년 내 다른 쪽 눈에도 발병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9-25 11:20   

한 쪽 눈에 습성(신생혈관성) 황반변성이 발병했을 경우 다른 쪽 눈에도 습성 황반변성이 발생할 확률을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 변석호·이준원 교수팀(연세의대 안과학교실)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세브란스병원 내원 당시 한 쪽 눈에만 습성 황반변성이 발병한 환자 280명의 경과를 분석해 이번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 한 쪽 눈에 습성 황반변성이 발생한 전체 환자 중 21%가 발병 5년 이내에 다른 쪽 눈에도 습성 황반변성이 발병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세부적으로, 습성 황반변성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쪽 눈에 쌓인 ‘드루젠’의 유형에 따른 습성 황반변성 발병 여부에 대해 살폈다.

습성 황반변성을 앓는 환자들은 다른 쪽 눈이 완전히 정상인 경우와, 눈에 일종의 노폐물인 ‘드루젠’이 쌓여 발생하는 건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경우로 분류해볼 수 있다. 드루젠은 연성 드루젠(Soft drusen), 망상가성드루젠(Reticular pseudodrusen), 파키드루젠(Pachydrusen)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다른 쪽 눈이 정상으로, 드루젠인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5년 내 해당 눈에도 습성 황반변성이 발생할 확률이 3.6%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른 쪽 눈이 드루젠을 보유한, 건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눈인 경우에는 동반된 드루젠의 유형에 따라 발병률에 차이가 있었다. 연성 드루젠과 망상가성드루젠을 함께 가진 환자의 경우, 76%가 해당 눈 또한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됐다. 연성드루젠만 가진 환자인 경우에는 46%에서, 망상가성드루젠만을 가진 경우 25%에서 5년 내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이미 발생한 습성 황반변성의 세부 유형에 따른 다른 쪽 눈의 발병 가능성도 분석했다. 습성 황반변성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 전형 신생혈관성황반변성 환자의 경우 5년 내 다른 쪽 눈에도 습성 황반변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19%로 조사됐고, 결절성 맥락막 혈관병증의 경우 8%, 망막혈관종성증식의 경우 6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인자 중에서도 성별, 나이 등 다른 요소들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드루젠의 유형’이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가장 유의미한 인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이미 습성 황반변성의 발생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이 다른 눈에도 습성 황반변성이 찾아올 가능성에 대비하고, 시기를 놓치지 않고 조기에 치료받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