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료적 성과를 토대로 감염병 관리에 적극 대처해 왔던 한의사들의 역사적 사실과 함께 코로나19 등 현대 감염병 관리 및 치료에 한의사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윤성찬)는 지난 15일 오후 4시부터 서일대학교 호천관 7층 강당에서 ‘지석영의 삶과 종두법’을 주제로 한·중·일 연자가 참석하는 제1회 지석영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우두법을 도입한 지석영 선생의 한의사로서의 생애와 업적을 되돌아보고, 조선시대 한의사들이 어떻게 천연두를 관리해 왔는지를 조명했다.
윤성찬 회장은 "한의사로서의 지석영 선생의 생애와 우리나라 종두법의 역사를 토대로 지석영 선생의 우두법 도입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일본과 중국에서 이루어진 종두법의 역사와 한의약의 활약을 고찰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심포지엄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며 "특히 코로나19 당시 한의사들의 역할과 노력을 되돌아봄으로써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포지엄의 사회는 정유옹 대한한의사협회 수석부회장이 맡았고 △한의사 지석영의 연대기(김남일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 △한국 종두법의 역사와 지석영(이태형 대한한의사협회 학술이사) △우두법의 전파와 그 확산(아오키 토시유키 일본 사가대학 교수) △종두법으로 살펴본 중국과 외국의 의학교류(장재립 중의사·한국한의약진흥원 정책본부 세계화센터 연구원) △신종 감염병 전주기 의학적 관리에서의 한의약의 역할(권선오 한국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김남일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에 따르면, 우두법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입한 지석영 선생(1855~1935)은 일제가 조선을 점령한 이후로 한의사로만 활동했고, 1876년 종두연구에 착수한 이래 1880년 일본 동경에서 종두묘의 제조 및 축장법을 실습하고 귀국 후 전주, 공주 등지에 우두국을 설립하여 우두법을 교육했다.
김 교수는 "지석영 선생은 일제 점령 후 1914년 의생규칙이 반포되자 의생으로 등록(면허 6호, 관보 460호)하고 1915년 전선의회(全鮮醫會)의 회장, 1924년에는 동서의학연구회(東西醫學硏究會)라는 한의사단체의 회장을 역임하면서 한의학 발전에 힘쓴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이태형 대한한의사협회 학술이사는 우두법은 수많은 인명을 앗아간 두창(급성 발진성 전염병, 천연두)이라는 질환에 대처한 선조 한의사들의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에 따르면, 허준은 ‘언해두창집요’라는 전문 의서를 저술해 두창에 대한 적극적인 의료 개입과 민간에서의 적절한 처방을 도왔고, 정약용은 ‘임증지남의안’과 ‘의종금감’ 중 종두 관련부분을 정리해 본인의 홍역 및 두창 치료를 위한 한의서인 ‘마과회통’ 말미에 수록했다.
또 유의 이종인 또한 ‘시종통편’이라는 인두법 관련 서적을 저술하고 실제로 적극적인 인두법을 시행했고, 지석영 역시 본인이 저술한 ‘우두신설’을 통해 효과적인 우두법을 위해 아이가 약해 보일 경우 당귀와 녹용이 군약이 되는 ‘귀용군자탕(歸茸君子湯’을 미리 먹이고, 접종 후 제대로 창구가 합해지지 않거나 아물지 않을 때는 ‘생기산(生肌散)’이나 ‘금화산(金華散)’과 같은 한약 처방을 쓰도록 서술했다.
이 이사는 "이처럼 한의사들은 전염병 관리에 있어 열성적으로 대처했고 현대의 백신 접종에 해당하는 종두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으며, 국내에 우두법을 도입한 지석영 선생의 한의사로서의 정체성도 분명하다"면서 "코로나19와 같은 현대의 감염병 관리 및 치료에 있어서도 한의사들의 역할을 보다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권선오 한국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도 감염병 관리에 있어서 한의약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권 책임연구원은 "감염병에 대한 한의약의 접근 원리는 병원체의 박멸이 아닌 인체가 병원체의 체내 침입에 대항하는 자생력을 지지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병원체에 감염되었을 때 한의약에서는 부정거사(扶正祛邪; 질병에 대항하는 저항력의 근원인 정기를 북돋아 줌으로써 병을 치료하는 한의치료법) 치료법을 시행하는 만큼, 예방-급성기-회복기-후유증기로 이어지는 전주기 동안 병태생리적 증후가 매우 복잡다단한 코로나19와 같은 신변종 감염병 대응에 있어서 한의약이 제시하는 전일적(holistic) 관점의 접근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국제학술심포지엄은 한의약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위해 15일과 16일 양일간 용마폭포공원 및 서일대학교(서울시 중랑구 소재) 일대에서 펼쳐지는 ‘제1회 지석영 건강축제’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국제학술심포지엄 이외에 한의약 건강강좌와 체험부스 운영, 기념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01 | 차바이오텍,'CordSTEM-ST' 조기난소부전 임... |
02 | 클립스비엔씨, MRSA 감염증 예방 백신후보... |
03 | 이엔셀,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공급 계약 ... |
04 | 온코크로스, ASCO서 'AI 대사체 기반 조기 ... |
05 | 베이진, ‘비원메디슨’으로 상호 변경...글... |
06 | 코어라인소프트, MS 이어 베링거인겔하임 ... |
07 | GC녹십자, 헌터라제 임상3상서 운동능력 개... |
08 | 인트론바이오, 혁신 ‘로봇 박테리오파지’ 플... |
09 | 램시마SC, 유럽 전체 점유율 22%.. 4년 만에... |
10 | LG화학,성장호르몬제 치료반응 예측 AI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