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은 국내에서 감상선암, 폐암에 이어 3번쨰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사망률도 2021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17.5명으로 덩달아 높아지며 대장암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나수영 교수(사진)가 대장암 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내 대장암은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 자료를 기준으로 10만 명 당 27.2명의 발생률을 보인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치에 속한다. 국가암통계자료에 따르면 대장암은 2020년 기준 갑상선암, 폐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했다.
하지만 대장암의 10만명 당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2011년 정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이에 나 교수는 “검진 내시경이 증가하면서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용종을 미리 절제하기 때문”이라며 “여러 연구를 보면 대장내시경으로 용종을 제거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대장암 발생률이 76~90%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대장암에 의한 사망률 역시 1996년 국가 암검진 사업이 시작된 이후 조기 대장암의 발견율이 증가하고 치료법이 발달하면서 감소하고 있다. 1993~1995년 56.2%였던 5년 생존율은 2015~2019년 74.3%로 증가했지만, 연령표준화사망률은 제1차 암관리종합계획(1996~2005년)부터 제3차 암관리종합계획(2016~2020년) 동안 39.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장암 조기 발견 비율이 위암의 절반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이의 원인으로 대장암의 낮은 암 검진율이 꼽힌다. 위암은 1999년부터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이 시작됐지만, 대장암은 2004년에서야 시작됐으며, 국가암검진사업 중 대장암의 검진 수검률은 2015년 기준 50% 내외로 5대 암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대장암 검진 수검률이 낮은 이유는 분변 검사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대장내시경이 상대적으로 위내시경보다 어렵고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오는 2026년부터 대장내시경을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의 1차 선별 검사로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고 알려졌다.
나 교수는 “대장암의 재발을 예방하고 좋은 예후를 위해 암 예방 생활 수칙을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며 “몇 가지 예를 들면 흡연하지 않고 소량의 음주도 피하기,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짠 음식과 탄 음식 피하기,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하기, 자신의 체격에 맞는 적절한 체중 유지하기, 수술 후 추적 검사 지침에 따라 빠짐없이 검사받기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