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기 성장판 손상 없이 박리성골연골 병변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수술법이 개발됐다.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은 김형년 정형외과 교수팀이 발목 염좌 및 골절로 연골과 연골 아래 뼈가 떨어져 발생하는 박리성 골 연골 병변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 골 연골 고정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박리성골연골병변은 발목 염좌 및 골절로 연골과 연골 아래뼈가 떨어져 나가(박리)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렇게 발목이 접질릴 때 연골 부분에 손상이 생기면 연골과 뼛조각이 떨어져 나갈 수 있다.
과거 강한 충격이나 외상으로 인한 발목 부상이 있었지만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았거나, 단순히 삔 것으로 오인해 대증적 치료만 했다면 이후 발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소아는 발목 염좌 등 외상없이 거골 부위 혈류장애로 인해 박리성골연골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박리성골연골병변은 활동 제한 등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좋아지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병변 크기가 작으면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골절술(미세천공술)로 연골 재생을 시도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하지만 해당 수술법은 병변 부위가 관절연골인 초자연골로 재생되는 것이 아닌 섬유연골로 재생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연골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조금 더 본연의 관절연골에 가까운 연골로 재생될 수 있도록 줄기세포나 자가연골세포이식술과 같은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지만 아직 완벽한 관절연골로의 재생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 수술법과 달리 김형년 교수는 박리된 발목 골연골을 연구해 상태가 양호한 경우 재생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비교적 나이가 어릴 수록 골연골 상태가 더욱 양호해 환자 본인의 박리된 골연골을 제거하지 않고 고정해 붙여주는 수술법을 개발했다.
이 수술법은 발목 피부 2~3cm 절개만으로 시행이 가능하고 무릎 연골을 채취할 필요가 없으며 복숭아뼈의 절골술을 없이 본인의 발목 골연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후유증이 적고 회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골연골 모양도 떨어져 나간 본연의 위치에 그대로 잘 맞아 효용성이 높다. 그러나 박리된 골연골의 상태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있거나 단단하지 않을 경우 잘 붙지 않을 수 있고 병변 아래 뼈의 상태도 중요해 의료진의 판단과 수술적 노하우가 필요하다. 특히 성장판이 열려 있는 소아청소년기에는 성장판의 손상 없이 최소침습 골연골고정술을 통해 안정성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는 게 병원 설명이다.
김형년 교수는 “발목에 발생한 박리성골연골병변은 크기가 크고 연골과 연골 아래뼈 상태가 양호하면 이를 제거한 후 미세절골술이나 자가골연골이식술을 시행하기 앞서 본인의 골연골을 살릴 수 있는 고정술로 치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절골술 없이 최소절개로 시행하는 최소침습 골연골고정술이 최고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목 외상 경험이 있고, 운동 혹은 오래 걸었을 때 갑작스러운 통증이 있다면 박리성골연골병변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김형년 교수팀이 개발한 최소침습 골연골고정술은 정형외과국제학술지인 미국스포츠의학회지(피인용지수 7.010)에 게재됐다.
또 수술 후 우수한 연골의 상태를 MRI와 관절경 검사로 확인한 결과는 자연과학 분야 SCIE급 국제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피인용지수 4.997)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