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경구용 항응고제, 심방세동 동반 뇌졸중 환자 예후 개선"
한림대성심병원 이민우 교수 연구팀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2-24 16:30   
 

△ 이민우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교수. 사진=한림대성심병원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NOAC)’ 처방 시 뇌졸중, 모든 이유 사망, 혈관성 사망 등 각종 예후가 개선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배희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열린 ‘국제 뇌졸중 학회’에서 NOAC이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혈관성 사망, 모든 이유 사망, 혈관질환 발생 등 각종 예후를 개선하는데 100% 매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NOAC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의 1차 및 2차 예방을 위해 강력하게 권고됐지만, 지난 10여 년간 NOAC이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예후를 어떻게 얼마나 개선하는지 관련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19개 병원 뇌졸중 환자 데이터(CRCS-K 뇌졸중 레지스트리)를 통해 NOAC 도입 전인 2011년부터 NOAC 처방률이 75%를 넘긴 2019년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연도별 혈관 사건을 분석하고, 혈관 사건 변화에 NOAC이 미친 매개 효과를 확인했다.
 

△ NOAC 도입 후 심방세동 뇌졸중 환자의 예후(유병률) 변화. 표=한림대성심병원

그 결과 NOAC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모든 이유 사망, 혈관성 사망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일차복합결과(뇌졸중, 심근경색, 사망) △모든 이유 사망 △혈관성 사망 △혈관질환은 NOAC의 도입이 100% 매개해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NOAC을 도입한 이후 각종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은 낮아졌다. 뇌졸중 유병률은 2011년 8.7%에서 2019년 5.2%로, 혈관성 사망 유병률은 2011년 9.4%에서 2019년 5.7%로 각각 40%가량 떨어졌다.
 
이민우 교수는 “뇌졸중, 심근경색, 사망 등의 데이터가 종합된 ‘일차복합결과’ 값을 2011년 28.3%에서 2019년 21.7%로 23%나 낮추는 등 심방세동 뇌졸중 환자의 각종 예후를 개선하는데 NOAC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진료실에서 심장혈관질환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NOAC 복용의 중요성 강조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민우 교수는 이번 연구논문 ‘NOAC이 심방세동과 관련된 급성허혈성 뇌졸중 후 혈관 사건 또는 사망의 시간적 추세에 미치는 영향’으로 2023 국제 뇌졸중 학회에서 ‘젊은 연구자상’과 ‘폴 더들리 화이트 국제 학자상’를 동시에 수상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