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가 체중 감소 ‘효과’…안전성 문제는 ‘글쎄’
캄테토신 투여로 GDF15가 감소하면 자연적 배고픔 사라져 비만 예방 효과, 메스꺼움, 빈혈 등의 부작용도 나타나
김상은 기자 kim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2-28 06:13   수정 2022.02.28 08:28
항암제가 자연적인 배고픔을 억제해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A&F 대학교의 장 웨이우 연구진은 GDF15(growth differentiating factor 15)를 억제하면 비만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PLOS Biology 2월호에 게재했다.

GDF는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 자극에 반응하며 순환하는 호르몬이다. 연구진은 실리코 약물 선별 방법을 통해 항암제 캄테토신(Camptothecin; CPT)를 투여한 쥐에게 간에서 분비되는 GDF15가 증가하는 현상의 원인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CMAP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잠재적인 GDF15의 유전자를 유도하는 잠재인자가 캄테토신이라고 지적했다. 캄토테신은 GFRAL이라는 수용체를 통해 GDF15에 특정하게 반응했으며, GFRAL 발현이 억제될 때 GDF15에 대한 항체가 체중 감량을 막는 반응이 나타났다. 

비만 쥐의 경우 캄토테신의 경구 투여가 혈액 내 GDF15 수치를 빠르게 증가시켰으며, 30일 동안 음식 섭취량이 약 12%, 몸무게는 약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지방이 적은 쥐에서는 캄토테신이 GDF15를 상승시키는 반응이 없었고 음식 섭취나 체중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임상 2상에서 90~180 ㎎/m 사이의 초기 용량에서 3주마다 단일 주사로 매주 위장·선암 환자에서 부분적인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투여로 인해 메스꺼움, 구토, 피부염, 설사, 방광염, 백혈병, 혈소판 감소증 및 빈혈을 포함한 일부 부작용이 보고됐다. 

우 교수는 "비만 방지 메커니즘은 DNA 복구 효소인 토포이머레이스의 기능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암 메커니즘과는 별개이며, 훨씬 더 낮은 약물 농도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