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디보, 2가지 수술 후 보조요법 및 3가지 병용요법 관련 적응증 추가 승인
식도암(위식도접합부암) 및 방광암 환자의 보조적 요법에 이전 단독요법의 안정성 프로파일과 일치
김상은 기자 kim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2-17 14:07   수정 2022.02.17 17:24
한국오노약품공업(대표이사: 최호진)과 한국BMS 제약(대표이사: 김진영)은 지난 14일 한국오노약품공업이 항 PD-1 단일클론항체인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아래 2가지 수술 후 보조요법 및 3가지 병용요법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2가지 수술 후 보조요법은 ▲수술 전 보조요법(neoadjuvant)으로 화학방사선요법(CRT)을 받고 완전 절제술을 시행 후 잔류 병리학적 질환을 동반한 식도암 또는 위식도접합부암의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 ▲근치절제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근육 침습성 방광암(MIBC)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 (adjuvant)이 해당된다.

이번 승인은 식도암 또는 위식도접합부암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의 보조요법으로서 옵디보 단독요법을 위약과 비교평가한 무작위배정, 다기관, 이중맹검의 3상 임상 CheckMate-577(ONO-4538-43)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해당 연구에서 옵디보 단독요법은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무질병생존기간(DFS)을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장시켰다. 옵디보 단독요법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지금까지 보고된 내용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CheckMate-577은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 화학방사선요법(CRT)을 시행한 뒤에도 병리학적으로 완전반응에 도달하지 못한 식도암 또는 위식도접합부암 환자의 절제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옵디보 단독요법을 평가한 무작위배정, 다기관, 이중맹검의 3상 임상 연구다. 환자는 수술 전에 보조 화학방사선요법(CRT)을 받고 완전한 외과적 절제술(trimodality)을 시행한 뒤 옵디보 단독요법군과 위약군 중 하나로 무작위 배정됐다. 옵디보 단독요법군에 배정된 환자들은 옵디보 240mg을 2주 간격으로 총 16주 간 투여한 후 옵디보 480mg을 4주 간격으로 투여했다. 해당 투여는 질환의 진행 또는 허용 불가능한 독성이 나타나거나 환자가 시험 참여 동의를 철회할 때까지 최대 1년 간 지속됐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무질병생존기간(DFS)이며,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전체생존기간(OS)이다.

이번 승인은 근치절제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근육 침습성 방광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옵디보 단독요법을 위약과 비교한 무작위배정, 다기관, 이중맹검의 3상 임상 CheckMate-274(ONO-4538-33) 연구 결과에 기반한다. 해당 연구에서 옵디보 단독요법은 위약군 대비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전체 무작위 환자군 및 PD-L1 발현율이 1% 이상인 환자군의 무질병생존기간(DFS)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장시켰다. 옵디보 단독요법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지금까지 보고된 내용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CheckMate-274는 근치절제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근육 침습성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 단독요법과 위약을 비교평가한 무작위배정, 다기관, 이중맹검의 3상 임상 연구다. 환자들은 1:1 비율로 옵디보 단독요법 투여군(240mg)과 위약 2주 간격 투여 군으로 무작위 배정됐으며, 해당 투여는 질환의 진행 또는 허용 불가능한 독성이 나타나거나 환자가 시험 참여 동의를 철회할 때까지 최대 1년 간 지속됐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무작위 배정된 전체 환자군 및 PD-L1 발현율이 1% 이상인 환자군의 무질병생존기간(DFS)이다. 주요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전체생존기간(OS)과 비요로상피 무재발생존기간 (NUTRFS) 및 질병특이생존기간(DSS)이다.

또한 승인된 3가지 병용요법은 ▲EGFR 또는 ALK 변이가 없는 전이성 또는 재발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로서 카보플라틴, 파클리탁셀, 베바시주맙과의 병용요법 ▲진행성 신세포암의 1차 치료로서 카보잔티닙과의 병용요법 ▲플루오로피리미딘, 옥살리플라틴 및 이리노테칸 치료 후 재발한,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high, MSI-H) 또는 불일치 복구 결함(mismatch repair deficient, dMMR)이 있는 전이성 직결장암 성인 환자에서 여보이(성분명: 이필리무맙)와의 병용요법이다.

이번 승인은 이전에 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없고 근치적 방사선 치료가 불가능한 3B/4기 또는 재발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베바시주맙-화학요법 병용군(옵디보 병용군)과 위약-베바시주맙-화학요법 병용군(대조병용군)을 비교 평가한 3상 임상 TASUKI-52(ONO-4538-53) 연구 결과에 기반한다. 해당 연구의 중간 분석 결과, 옵디보 병용요법은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맹검독립평가위원회가 평가한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대조병용요법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장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ASUKI-52는 이전에 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없고 근치적 방사선 치료가 불가능한 3B/4기 또는 재발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베바시주맙-화학요법 병용요법군(이하 옵디보 병용군)을 위약-베바시주맙-화학요법 병용요법군(이하 대조병용군)과 비교평가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이중맹검의 3상 임상 연구다. 옵디보 병용군에는 옵디보 360mg과 카보플라틴 AUC6, 파클리탁셀 200mg/m2, 베바시주맙 15mg/kg을 3주 간격으로 투여하고, 대조병용군은 위약과 카보플라틴 AUC6, 파클리탁셀 200mg/m2, 베바시주맙 15mg/kg을 3주 간격으로 투여했다. 

옵디보 병용군과 대조병용군 모두 카보플라틴과 파클리탁셀은 4주기(cycle)까지 투여했으며, 투여를 안전하게 지속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최대 6주기(cycle)까지 투여할 수 있게 했다. 이후 질환의 진행 또는 허용 불가능한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옵디보 병용군에서는 옵디보와 베바시주맙을, 대조병용군에서는 위약과 베바시주맙 투여를 지속했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맹검독립평가위원회가 평가한 무진행생존기간(PFS)이다. 주요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전체생존기간(OS)과 임상시험실시기관 연구자가 평가한 무진행생존기간(PFS) 및 객관적 반응률(ORR)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