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치주질환이 단순히 구강 건강을 넘어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버밍엄 대학(University of Birmingham, UK) 연구팀은 BMJ Open에 게재한 연구에서 치주질환은 입 밖으로 나아가 정신건강을 비롯, 자가면역질환, 심혈관질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치아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잇몸에 관련된 치주질환과 충치다.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만 30세 이상의 성인 중 약 47.2%가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만 65세 이상의 성인 같은 경우는 70.1%가 치주질환을 앓고 있다.
버밍엄 대학 연구팀은 영국 1차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치주질환과 여러 만성 질환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등 지금까지 없었던 가장 큰 규모의 역학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치주질환의 비치주 건강 영향과 초기 단계인 치은염을 측정하기 위해 잇몸 건강에 이상이 있는 영국 각지 성인 6만 4,379명의 코호트를 추적 관찰했다. 관찰에 포함된 사람들의 평균 연령은 45세였으며 전체 그룹의 남성 비율은 43%, 흡연자는 30%였다. 연구팀은 이들을 3.4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코호트의 의료 이력과 인구 통계적으로 일치하는 25만 1,161명의 치주질환이 없는 대조군 병력을 비교해,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추가적인 건강 문제의 발생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그 중 치주질환과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보인 부분은 불안감, 우울증 등 정신건강 상태였는데, 치주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37%에서 이와 같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구취, 흔들리는 치아, 흔들리는 치아, 비어 있는 치아의 자리 등이 환자에게 심리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즉 치주질환으로 발생한 문제들로 인한 자신감 상실, 사교 능력 저하, 식사 능력 제한, 고통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류마티스, 제1형 당뇨, 관절염, 건선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은 코호트의 33%에서 발병했다. 심혈관 관련 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18%,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은 26%, 기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7% 등으로 치주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일부 전문가들은 “치주질환이 만성적일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알기는 어렵지만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이번에 버밍엄에서 진행한 연구는 추기 치주질환의 기간을 확신할 수 없지만 잇몸에 이상이 생기는 초기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