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 약국위원회가 "하반기 약국 민생 현안 개선을 위한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권혁노, 김범석 공동위원장은 25일 대한약사회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요 사업 등 업무 브리핑을 실시했다.
권혁노 위원장은 "대한약사회 약국위원회는 약국과 의약품 유통 제도에 관련한 업무를 수행한다. 약사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약국에 관한 사항들을 준수하고, 이러한 제도를 현실에 맞게 손질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며 위원회 업무에 대해 설명했다.
약국위원회는 약사 명찰 규정, 약국 명칭 사용 등을 비롯, 마약류 취급보고 제도나 전성분 표시, 안전성 정보 등도 약국위원회의 업무이다.
권 위원장은 "무자격자나 면대, 편법약국 등은 약국위원회 소관에서 약사지도위원회로 이관되었다. 하지만 완전히 분리가 불가능해 약국위원회와 약사지도위원회가 협업한다고 봐도 된다"고 덧붙였다.
약국위원회와 비슷한 업무를 담당하는 '약국경영활성화특별위원회'는 약국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는 정책으로 건강기능식품 등 몇몇 아젠다들을 특정해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김범석 위원장은 "하반기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으로 약사지도위원회와 공동으로 '편법약국' 문제, '악성 브로커 문제'에 대응 방침을 고민 중"이라며 "편법약국 개설 문제는 약사사회에 이미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개인적으로 이 문제에 회세를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약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브리핑에 참석한 조영희 약국지도위원장은 "편법약국 개설 문제를 약국지도위원회에서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불법 편법 약국 개설 및 운영에 강력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조영희 위원장은 "약사회 차원의 대응과 더불어 건보공단 특사경 도입 제도가 면대약국에 대한 강력한 적발을 하면서 편법 약국 문제나 악성 브로커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도 면대 의심약국의 경우 건보공단에 조사 의뢰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약국위원회는 '의약품 안정공급', '전성분 표시제도', '단말기 사업자의 불공정 거래 약관 개선' 등을 하반기 과제로 추진할 방침이다.
권혁노 위원장은 "이 현안들은 약국 민생 현안과 밀접한 의제들이고, 약국의 역할 정립을 위해서도 잘 풀어 나아가야 한다. 이 외에도 약국의 민생과 밀접한 제도에 대한 개선 작업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위원회 업무관련 질의 응답을 통해 '품절의약품' 대책 추진 현황에 대해서도 답변이 이루어졌다.
권혁노 위원장은 "원료의약품 수급 차질, 제조시설 문제나 제조소 이전 등이 공급 불안정을 촉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생산 차질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지만, 원료 수급이나 제조소 개보수 및 이전으로 인한 의약품 공급 불안정은 충분이 사전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또 "여러 사정으로 사전에 대응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수급 차질이 발생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약국 등 보건의료현장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범석 위원장은 "의약품 유통정보도 의약품 공급만큼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건의했다"며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을 지정하고 있지만, 퇴장방지나 희귀의약품, 시장지배력이 높은 품목 등 조건이 있어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수급 불안정 정보를 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와 관련단체는 물론 제약사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약국위원회는 현안을 비롯, 앞으로 회원 약국의 경영 편의와 정책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 대한약사회의 정책 개선 활동에 앞장 설 것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