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약협회의 건의로 고용 노동부에서 추진하 '의약품제조기사'와 '바이오의약품제조기사'를 신설 하려는 움직임이 뭍밑에서 논의 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약사회의 저지로 보류된 사안으로 양덕숙 후보는 총력을 다해 이를 저지하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양 후보는 "약사가 아닌 자로 제조관리자를 맡게 하는 것은 산업약사의 입지를 약화하고 결국 약사의 존립 자체를 흔들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기에 약사사회의 여러 현안 중 제조관리자 자격 신설 문제는 약사직능을 위협하는 직접적이고 강력한 공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고용노동부에서 식약처로 다시 약사 외 의약품제조 관리자 자격 신설에 대한 의견을 보내 강하게 추진할 태세가 포착됐다며 양 후보는 "정부의 의약품제조 관리자 정책은 부족한 약사 수를 핑계로 지속적으로 약사 외 인력의 약사 대체를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산업약사회가 조직되지 않았고, 대약에서도 강경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기 때문에 양덕숙 후보는 "시약 회장이 된다면 우선적으로 산업약사회 설립을 적극 지원하고 강대 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페이백 정책과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소신을 내비쳤다.
또한 대약 차기 집행부가 이 건을 사력을 다해 다룰 수 있도록 강력하게 의안으로 밀어부치겠다는 각오를 보였다.
또, "시약 자체적으로도 이 문제를 심대한 사안으로 다루고 대약과 별도로 정부의 제조관리자 정책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