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덕숙 서울시약사회장 후보(기호 1번)는 그간 선거운동 과정에서 피부로 접했던 약국가의 최대 현안은 역시 '불용재고 처리 문제'라고 지적했다.
양 후보는 "근본적인 문제는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지 않는 탓이지만, 현장에서 흔히 부딪히는 원인은 잦은 처방 변경과 대용량, 대량 포장으로 인한 것"이라며 "불용재고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은 다각적인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우선적으로는 소포장 품목 수를 늘려야 하는데 액제(대용량 시럽, 포장단위가 큰 스틱·파우치나 병입 단위가 큰 제품), 산제(대용량), 연고-크림제, 인슐린제제 등으로 품목이 확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소포장 비율도 확대되어야 하는데 비율을 늘릴 경우 제약회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보험약가 측면에서 보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불용재고는 약사의 금전적 손해 이전에 국가적 손실이고 환경오염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으로 전가되는 문제이므로 당장의 불용재고 약가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사안으로 소포장 생산은 복지부와 환경부 등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양 후보는 "최적 재고를 보유할 수 있는 약국의 시스템적 장치가 필요하다. 환자의 재조제 방문 시점에 맞추어 적량의 약품을 주문하고 반품가능 시점 내에 필수 재고만 보유하고 반품을 처리하는 IT 기반의 전문약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며 "양 후보가 추진하고자 하는 IT 기반 스마트약국 개념 안에는 전문약 관리 앱이 포함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반품 금액은 대략 1% 정도로 알려져 있다. 통상 제약사가 감당할 만한 금액으로 여겨지고 있고 반품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정산 체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면 2개월 이내 정산 완료가 가능할 것"이며 "약국 간 교품이 법적으로 인정받고 IT기반 교품 시스템을 구축하면 불용재고는 다각적으로 최소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양 후보는 약국 교품을 법제화하고 효율적인 교품 시스템을 완비하기 위한 노력을 회무의 중점 과제로 설정하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