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당국, 사노피 본사 전격 압수수색…세금 사기 의혹 정조준
PNF, 금융조달 구조 활용 여부 본격 조사
소시에테제네랄 대출 연계 거래 자료 확보
EU 반독점 조사까지 겹치며 규제 리스크 부상
최윤수 기자 jjysc022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1-28 06:00   수정 2025.11.28 06:01

프랑스 당국이 제약사 사노피(Sanofi) 본사에 대한 세금 사기 혐의 조사를 진행하며 본격적인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Le Monde)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30명 이상의 수사관이 파리 본사에 들이닥쳐 사노피의 특정 금융거래 내역 및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사노피는 이메일 성명을 통해 압수수색 사실을 인정했으며, 이번 조사가 프랑스 금융그룹 소시에테제네랄(Société Générale)로부터 제공받은 대출(financing arrangement)과 관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출은 사노피가 10년 이상 전에 진행한 인수건과 연관된 금융 구조였으며, 해당 대출 방식이 현재 프랑스 국가금융검찰청(PNF·Parquet National Financier)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사노피는 “해당 금융 구조는 당시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던 구조였으며, 다수 기업이 소시에테제네랄이 제공한 동일한 금융 방식을 이용했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관련 법규를 준수했다고 주장하며, 필요한 경우 당국과의 협조를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추가로 전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올해 1월, 프랑스 국가금융검찰청이 ‘세금 사기 자금세탁 의혹’과 ‘범죄적 공모 가능성’을 근거로 정식 수사에 착수한 이후 진행된 후속 조치다. 프랑스 검찰은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특정 금융거래 모델이 불법적인 세금 절감 및 조세 회피에 사용됐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계열사 및 금융기관에 대한 자료 확보를 확대하고 있다.

사건의 중심에 있는 금융기관 소시에테제네랄도 이미 조사 대상에 오른 상태다. 프랑스 및 룩셈부르크에 위치한 해당 금융사의 사무소는 지난 6월 당국의 압수수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검찰은 사노피 외에도 프랑스 낙농 대기업 락탈리스(Lactalis)와 보험·자산운용사 AXA가 유사한 금융 구조를 이용했는지 여부도 확인 중이다.

사노피는 이번 조사와 별개로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의 반독점 조사 대상에도 올라 있다. 유럽위원회(EC)는 사노피가 백신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활용해 경쟁을 저해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독일과 프랑스 내 사노피 시설에 대한 현장 조사(unscheduled inspections)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는 사노피의 백신 사업 전략 및 시장 지배력 남용 여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프랑스 검찰 및 유럽연합 차원의 조사가 병행되고 있는 현 상황은 사노피가 향후 규제 부담에 직면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업체는 모든 조사를 성실히 이행하겠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법률적 판단이 이루어질 경우 세제 환수 조치 또는 시장 경쟁구조에 대한 규제적 개입이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글로벌 제약사의 세무 구조 및 시장지배력 행사 방식이 주요 규제 당국의 심사 대상에 오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다국적 제약사들의 재무, 조세, 경쟁 전략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