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뷰티 기업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금 전년비 37.2% ↓
아모레퍼시픽 1466억 최다…에이피알 1163억으로 3위 도약
김민혜 기자 ms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10-22 06:00   수정 2025.10.22 06:01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8월 반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상장 코스메틱 뷰티 기업 89개사(코스피 19개사, 코스닥 70개사)의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금평균은 12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동기 대비 37.2% 감소했다.   지배지분 순이익률은 6.1%, 연결순이익 비중은 87.0%다.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금 평균은 51억원이다. . 전기 대비 26.9%, 전년동기 대비 62.2%  각각 감소했다.  지배지분 순이익률은 5.1%, 연결순이익 비중은 91.0%다


 지배지분순이익은 지배기업(모회사)의 순이익에 종속기업, 관계기업 등 자회사의 순이익 중 지배기업의 지분율만큼에 해당하는 순이익을 더한 것이다. 지배지분순이익은 IFRS가 도입되면서 새롭게 생긴 계정과목이다. IFRS는 기업의 회계 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에서 마련해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국제회계기준 또는 국제재무보고기준이라고도 한다. 국내에선 2007년 3월 15일 '국제회계기준 도입 로드맵'을 발표하고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상장기업에 도입했다. 

◇ 2025년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금 상위  10개사 

올해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을 가장 많이 낸 기업은 아모레퍼시픽으로 순이익금은 1466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이하 전년비) 76.0% 역성장했다. 

2위는 LG생활건강으로 133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35.6% 감소했다. 3위는 에이피알로 1163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전년비 141.2% 증가했다.  

4위는 아모레퍼시픽홀딩스. 순이익금은 838억원으로, 전년비 63.9% 감소했다. 5위는 파마리서치. 836억원을 기록, 전년비 71.9% 증가했다. 

6~10위는 실리콘투(744억원), 휴젤(655억원), 클래시스(563억원),  한국콜마(482억원), 달바글로벌(446억원)이다.  상장 화장품 기업 89개사의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금평균은 121억원이다.  
 

◇  2025년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률 상위 10개사 

올해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비올로 38.9%를 기록했다. 전년비 24.2% 감소했다. 지배지분순이익금은 114억원이다. 

 2위는 클래시스로 순이익률은 35.1%다.  순이익금은 563억원. 전년비 6.9%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563억원.   3위는 케어젠으로 순이익률은 33.6%. 순이익금은 132억원으로 전년비 14.9% 감소했다. 

4위는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로 순이익률은 33.2%. 순이익금은 40억원으로 전년비 65.7% 성장했다. 5위는 휴젤. 순이익률은 32.7%. 순이익금은 655억원으로 전년비 17.8% 증가했다. 

 6~10위는 파마리서치(32.5%), 원텍(27.3%), 휴메딕스(25.7%), 바이오플러스(22.6%), 네오팜(22.3%)이다.  상장 화장품 기업 89개사의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율   평균은 6.1%다.  
 

◇    2025년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률 하위 10개사 

올해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997.6%의 순손실률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손실액은 104억원이다. 

하위 2위는 코스나인으로 순손실률은 448.9%. 손실액은159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지속 상태다.  하위 3위는디와이디. 순손실률은 72.9%. 손실액은 14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하위 4위는 에스바이오메딕스로 순손실률은 56.9%. 손실액은 53억원.  전년대비 적자지속 상태다. 하위 5위는 오가닉티코스메틱. 순손실률은 56.6%. 손실액은 435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지속 상태다. 

하위  6~10위는 바이오솔루션(-53.7%), 동성제약(-43.4%),  엘앤씨바이오(-37.0%), 제이준코스메틱(-27.4%), 아이큐어(-24.9%)다.  

 

◇  2025년 상반기 지배지분순이익금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10개사 

올해 상반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지배지분순이익금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제닉이다. 증가율은 4601.7%.  순이익금은 75억원. 

2위는 아스테라시스로   432.8%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35억원. 3위는 대봉엘에스로 342.8% 성장했다. 순이익금은 99억원. 

4위는 에이피알로 141.2%  늘었다. 순이익금은 1163억원. 5위는 제로투세븐으로 106.7%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19억원.

6~10위는 셀바이오휴먼텍(104.4%), 원텍(103.9%), 한국비엔씨(84.3%), 승일(81.0%), 파마리서치(71.9%) 다.

 
◇ 2025년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금 상위  10개사 

올해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을 가장 많이 낸 기업은 에이피알로 순이익금은  663억원이다. 전기비 32.8%,  전년비 175.2% 각각 성장했다. 

2위는 파마리서치로 474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비 31.0%, 전년비 51.0% 각각 증가했다. 3위는 휴젤로 364억원을 거둬들였다. 전기비 25.3%,  전년비 4.7% 각각 늘었다.  

4위는 아모레퍼시픽으로 358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비 67.7%, 전년비 93.3% 각각 역성장했다. 5위는 실리콘투로  순이익금은 356억원. 전기비 8.2% 감소했으나, 전년보다는 6.7% 증가했다.

6~10위는 LG생활건강(351억원), 한국콜마(349억원), 클래시스(265억원),  아모레퍼시픽홀딩스(250억원),코스맥스(209억원)다.  상장 화장품 기업 89개사의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금 평균은 51억원이다.  
 

◇  2025년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 상위 10개사 


올해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제이준코스메틱으로 68.4%를 기록했다. 전기 및 전년 대비 흑자전환했다. 순이익금은 13억원. 

 2위는 파마리서치로 순이익률은 33.7%다. 전기비 31.0%, 전년비 51.0% 각각 성장했다. 순이익금은 474억원. 3위는휴젤. 33.0%를 기록, 전기대비 25.3%, 전년비 4.7% 각각 증가했다. 

4위는 클래시스로 지배지분순이익률은 31.8%다. 전기 대비 11.2%, 전년대비 0.4% 각각 줄었다. 순이익금은 265억원.  5위는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로 29.4%를 기록했다. 전기 대비 31.5% 감소했으나, 전년보다는 49.1%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16억원. 

 6~10위는 아스테라시스(28.4%), 대봉엘에스(27.0%), 케어젠(26.5%), 원텍(23.1%),씨큐브(22.9%)다.  상장 화장품 기업 89개사의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율  평균은 5.1%다.  
 

◇  2025년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 하위 10개사

올해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률이 가장 낮은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1277.5%의 순손실률을 기록했다.  전기에 이어 적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손실액은 43억원이다. 

하위 2위는 동성제약으로 순손실률은 94.1%. 손실액은188억원으로, 전기 및 전년 대비 적자지속 상태다.  하위 3위는디와이디. 순손실률은 76.3%. 손실액은 82억원으로, 전기 및 전년 대비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하위 4위는 오가닉티코스메틱으로 순손실률은 74.4%. 손실액은 338억원. 전기 및 전년대비 적자 지속 상태다. 하위 5위는엘앤씨바이오. 순손실률은 66.7%. 손실액은 137억원으로  전기에 이어 적자 상태며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하위  6~10위는 에스바이오메딕스(-62.5%), 아이큐어(-37.7%), 바이오솔루션(-30.3%),  케이엠제약(-29.7%), CSA코스믹(-28.6%)이다.  

 

◇  2025년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금 전기대비 증가율 상위10개사 


올해 2분기  기준 전기 대비 지배지분순이익금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아스테라시스로 증가율은 461.5%다.  순이익금은 29억원. 

2위는 콜마비앤에이치로 375.2% 성장했다.   순이익금은 67억원.  3위는 제이투케이바이오로 272.7%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9억원.

4위는 한국콜마로 증가율은 163.8%. 순이익금은 349억원. 5위는 대봉엘에스로 증가율은 160.5%. 순이익금은 71억원.

6~10위는 코스맥스(157.4%), 엔에프씨(132.2%),  메디톡스(120.0%), 애경산업(117.6%), 씨큐브(80.0%)다.

◇  2025년 2분기 지배지분순이익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10개사 

올해 2분기 기준  전년비 지배지분순이익금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대봉엘에스다. 증가율은 472.7%.   순이익금은 71억원. 

2위는 제닉으로 407.4%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40억원.  3위는 바이오비쥬로 346.8% 성장했다. 순이익금은 6억원. 

4위는 씨티케이로 217.7%  늘었다. 순이익금은 13억원. 5위는 에이피알로 175.2% 증가했다. 순이익금은 663억원.

6~10위는  코리아나화장품(124.1%), 원텍(108.0%), 셀바이오휴먼텍(97.7%), 펌텍코리아(95.0%), 아스테라시스(73.0%)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